13일사진
인천연구원이 13일 발표한 '인천시 전기버스 운행체계 기초연구보고서'에서 경유나 천연가스로 운행되는 시내버스를 전기버스로 전환하면 10년간 2천600억원 가량의 연료비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연수구의 한 시내버스 차고지에서 차량들이 운행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CNG·경유버스의 40%대 수준 나와
준공영제 참여사 69% '전환 긍정적'


경유나 천연가스로 운행되는 인천의 시내버스를 전기버스로 전환하면 10년간 2천600억원대의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13일 '인천시 전기버스 운행체계 기초연구' 보고서를 내고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인천 시내버스 준공영제 156개 노선 1천861대를 기준으로 2019년부터 2028년까지 CNG(천연가스) 버스 1천678대, 경유 버스 183대를 폐차하고 전기 버스로 바꿀 경우 연료비를 2천685억여원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연구 결과 CNG버스의 연간 연료비는 3천600만원, 경유버스의 연간 연료비는 4천93만원이나 전기버스의 연간 연료비는 2천99만원으로 나타났다. CNG 버스의 41.7%, 경유 버스의 48.6% 수준이다. 연료비를 절반 이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준공영제 시내버스 차량을 폐차하고 전기 버스로 바꾸기 위해 시가 9년간(2019~2028년) 투입해야 할 예산은 6천48억원(국비 3천722억원, 지방비 2천326억원)으로 조사됐다.

인천시 준공영제 참여 시내버스 업체를 대상으로 한 전기차 전환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과반수의 업체들이 긍정적으로 답했다.

준공영제 시내버스 32개 업체 중 22개 업체(69%)는 '긍정적'이라고 답했으며, 전기버스 도입이 회사 이익에 부합할 것이라는 의견도 20개 업체로 조사됐다. 전기버스 도입에 따른 업체들의 기대 편익은 '유류비 절감'이 1순위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인천연구원이 수도권 지자체 출연 연구원인 서울연구원, 경기연구원, 수원시정연구원, 국책 연구원인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함께 진행했다.

한종학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전기버스 배터리 가격 인하와 차량기술 발전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전기버스 사업을 이미 추진하고 있는 광역·기초지자체 간 운행 사례를 공유하고 전기버스 도입을 유인하기 위한 관련 중앙정부의 인센티브 예산 제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