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정책연구 보고서 제언
클래식 등 국내유입 경로·클럽 산실
시대별 사료 보존·연구 공간 적합
"시가 설립·유치 적극 뛰어들어야"


문화체육관광부가 설립을 추진 중인 '한국대중음악자료원'을 인천에 유치해야 한다는 인천연구원의 정책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개항도시로서 대중음악과 클래식 등 다양한 음악의 국내 유입 경로였던 인천이 자료원의 최적지라는 설명이다.

인천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최영화 연구위원은 24일 발표한 '한국대중음악자료원 설립에 관한 기초연구'를 통해 이같이 제언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12월 '콘텐츠산업 경쟁력 강화 핵심전략'을 발표하면서 시대별 한국 대중음악 사료를 보존·연구하는 전시공간인 '한국대중음악자료원'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사료 보관 수장고와 자료 열람실, 소규모 전시실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은 1883년 개항 이후 대중음악, 클래식, 민중가요 등 다양한 음악이 유입됐고, 1950~60년대에는 개항장 일대인 신포동과 부평 애스컴(ASCOM·미군수지원사령부)을 중심으로 대중음악클럽이 번성했다.

1970년대 중반까지 부평구 신촌 클럽거리가 전성기를 이루며 한국 대중음악의 산실 역할을 담당했다.

이후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인천한류관광콘서트(케이팝), 월드 클럽 돔 코리아(EDM) 등 다양한 장르의 대중음악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최영화 연구위원은 국립 시설인 한국영상자료원과 시립 시설인 한국만화영상진흥원(부천)의 모델을 참고해 인천시가 한국대중음악자료원 설립·유치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부천의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경우 시립시설이지만 한국만화 수집·보존 외에도 예술인 창작지원·산업 육성 사업도 펼치면서 부천이 전국적으로 만화도시로 부상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영화 연구위원은 자료원 설립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대중음악계와 태스크포스(TF)를 설립해 문체부에 설립을 제안해야 한다고 했다.

최영화 연구위원은 "우선 인천시가 각 지역별 대중음악 자원을 하나로 묶어 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제시해야 설득력을 얻을 수 있다"며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한 설립과 운영, 문체부 지원에 관한 제도적 기반 마련도 인천시가 이끌어 내야 한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