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401010004456.jpg
7일 경인아라뱃길에서 시민들이 자전거를 타고 있다. 2020.11.7 /김금보기자artomate@kyeongin.com

공론화위원회 인천 부평·계양·서구
경기 부천·김포 주민 90명으로 구성
화물선 야간만 운행등 7개안 채택

환경부 "지속가능 시행 방안 추진"


인천·부천·김포 등 경인아라뱃길 인근 주민들은 아라뱃길이 활성화되려면 물류 기능을 축소하고 문화·관광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경인아라뱃길 공론화위원회는 지난달부터 3차례 시민위원회를 열고 아라뱃길 기능 재정립을 위한 최적의 대안이 무엇인지 의견을 조사, 그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시민위원회는 아라뱃길 인근 지역인 인천 부평구·계양구·서구, 부천 신중동·오정동, 김포 고촌읍·사우동·풍무동 주민 90명으로 구성돼있다.

모두 7개 안 중 시민위원들의 선택을 가장 많이 받은 안은 화물선 운행을 야간에만 허용하고 김포·인천 여객터미널을 해양환경체험관 등으로 전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포화물터미널 컨테이너 부두를 숙박시설·박물관 등으로 교체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무동력선 등의 수상레저를 활성화하는 안도 있었다.

해당 방안에서 수질은 굴포천 하수 개선을 통해 현행 4~5등급 수준에서 3등급 수준으로 개선된다.

제시된 7개의 안 중 절반 가까이는 아라뱃길의 물류 기능을 포기하고 문화·관광 기능을 대폭 강화하자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수질을 2등급 수준으로 뚜렷하게 개선하자는 내용도 절반을 차지했다. 다만 모든 방안에 물류 기능을 지금보다 줄여야 한다는 내용은 공통적으로 포함됐다.

7개 안 중 시민들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안은 물류와 문화·관광, 수질 부문 모두를 일부 개선하자는 방안인데 비용은 적게는 5천619억원에서 많게는 6천344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됐다.

야간 화물선 운행에 따라 수로와 일반화물터미널은 기존 항만시설로서의 법적 지위를 그대로 갖게 되지만 여객터미널은 해양환경체험관 등으로 전환하려면 용도 변경 절차가 필요한 상황이다.

허재영 경인아라뱃길 공론화위원장은 "시민들이 숙의 과정을 통해 도출한 최적 대안을 충분히 검토해 아라뱃길의 기능 재정립 방안을 올해 안에 환경부에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환경부는 아라뱃길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구체적 시행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