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정문제 주민 수용성 확보 '관건'
인센티브 핵심은 대부도 연결 대교
사업비만 2500억원 '예산 웃돌아'
"서울·경기 협상 먼저" 野 비판도
인천의 '뜨거운 감자'인 자체매립지 대상지 선정 문제가 다시 인천시 손으로 넘어왔다. 영흥도 자체매립지 지속 추진의 가능성이 큰 가운데 여전히 숱한 변수가 남아 있어 인천시가 이를 어떻게 돌파할지 관심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11월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에 대비한 자체매립지 조성계획을 발표하며 영흥도 영흥면을 대상지로 정했다. 용역에서 1순위로 추천된 곳이 영흥도였다.
이때부터 영흥도 주민들의 극심한 반발이 시작됐고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매립지 특별위원회(특위)까지 구성해 최종적으로 영흥도와 선갑도를 다시 대상지로 검토해달라고 인천시에 요구했다. 이제 인천시의 '결단'만 남게 됐다.
인천시는 특위의 제안 사항을 면밀히 검토한다는 입장이지만, 결국에는 영흥도 자체매립지를 계속해서 추진할 것이란 시각이 많다. 대신 영흥도 주민들에 대한 인센티브를 크게 확대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가 검토 중인 인센티브의 핵심은 대부도와 영흥도를 직접 연결하는 대교 건립이다.
현재 인천에서 영흥도를 가려면 유일한 연륙교인 영흥대교를 건너야 하는데, 시화방조제를 지나 대부도, 선재도를 거쳐 크게 우회해야 한다. 관광객이 몰리는 주말이면 편도 1차선인 영흥대교의 정체가 극심해 주민들의 불만이 크다. 특위 역시 영흥도 육상 폐기물 운송에 대한 대안으로 '제2대교' 건립을 제시했다.
하지만 2천억원 이상으로 예상되는 재원 마련은 부담일 수밖에 없다. 인천시가 대략적으로 산출한 사업비만 해도 2천500억원에 달한다. 영흥도 자체매립지 조성 사업비 1천400억원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 국비를 지원받기 위해선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등 상당 기간이 소요돼 현실적으로 국비 확보도 어려운 실정이다.
결국 2천500억원을 지방비로 부담해야 한다는 얘기인데, 인천 시민들의 막대한 세금을 투입하는 게 또 다른 논란을 낳을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더해 국민의힘 이학재 인천시당위원장은 연일 자체매립지가 아닌 서울, 경기와의 협상이 먼저라며 인천시의 자원순환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인천시는 특위 제안을 검토한 뒤 조만간 매립지 입지 문제와 인센티브 확대 등에 관한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특위의 조사 결과 중 반영할 게 있는지 검토할 것"이라며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승배기자 ks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