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 WIDE] 모두 매립·소각장 밀어내면… 내 집앞에 '쓰레기' 쌓인다

더 미룰 수 없는 '폐기물처리시설 확충'
쓰레기 대란이 우려될 정도로 경기도 내 쓰레기배출량은 매년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처리하는 '소각장 마련'은 님비현상에 부딪힌 지자체들의 소극적인 자세 덕에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도내 한 쓰레기 소각시설로 주민들이 배출한 쓰레기가 모이고 있다. 2021.8.22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생활쓰레기나 산업폐기물이 발생하면 재활용을 하지 않는 이상, 묻거나 태워야 한다. 쓰레기·폐기물 배출은 매년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처리하는 매립장이나 소각장 마련에는 지자체들이 소극적이다.

소각장·폐기물장이 기피시설이다 보니 민간사업자 등이 시설을 만들려고 해도 인근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히게 마련이고, 주민들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지자체 입장에서는 '민원'을 이유로 이를 불허하기 일쑤다. 이 같은 상황이 장기간 방치되자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늘어나는 쓰레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묘수가 없는 상태에서 이를 감당해 낼 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한다면, 내 집 앞에 쓰레기가 쌓이는 쓰레기 대란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 

배출 늘지만… 지자체 유치 소극적
주민들 반대… 눈치볼 수 밖에 없어
불법투기 기승… 예산투입 악순환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전국 1일 폐기물 발생량은 지난 2014년 40만1천658만t에서 2019년 49만7천238만t으로 20% 넘게 늘었다. 폐기물의 주요 발생지는 공장이나 건설현장, 의료기관 등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생활 및 의료폐기물이 급증한 상황이어서, 현재 1일 배출량은 예년에 비해 급격히 늘어났을 것이란 전망이다.



폐기물 처리가 쉽지 않자, 처리 비용도 늘었다. 비양심업자들을 통해 폐기물이 방치되고 버려지는 일이 비일비재해지고, 지자체는 행정대집행에 막대한 행정력과 예산을 투입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된다.

 


근본적 해결책은 쓰레기와 폐기물을 줄이는 것이다. 차선책은 지역에서 발생한 폐기물과 쓰레기를 매립하거나 소각할 수 있는 시설을 지역 사정에 맞게 늘려나가는 것이다.

공공의 이익에 부합되지만 자신이 속한 지역에서만은 이를 반대하는 '님비'에 대한 지자체의 관용도, 더 이상 남용돼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나온다.

환경부조차 "불법 폐기물의 처리 및 안정적 처분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민원해소 권고 등을 이유로 관련 시설의 인·허가를 지연하는 사례가 없도록 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道행심위 "민원이유 건립불허 안돼"
화성시 석포리 매립장 '부결 취소'

이와 관련해 최근 화성시의 한 폐기물 시설 추진과 관련해서는 유의미한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의 판결이 나왔다. 

쓰레기_중앙.jpg
쓰레기 대란이 우려될 정도로 경기도 내 쓰레기배출량은 매년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처리하는 '소각장 마련'은 님비현상에 부딪힌 지자체들의 소극적인 자세 덕에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도내 한 쓰레기 소각시설로 주민들이 배출한 쓰레기가 모여들고 있다. 2021.8.22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화성시 도시계획위원회가 민원을 이유로 부결시켰던 장안면 석포리 폐기물 매립시설 설치와 관련해 지난달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가 화성시 결정의 부당함을 인정하고 불가통보 처분을 취소하라고 결정한 것이다.

지자체 관계자는 "민원을 이유로 더 이상 폐기물 시설 등에 대한 건립을 막을 수 없다는 정책 방향을 보여준 사례"라며 "쓰레기 대란을 막고, 발생지 처리 원칙을 따라가기 위해서라도 지역별 최소한의 시설 건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3면([경인 WIDE] '님비' 장벽 넘어설 수 있는 주민 설득·보상 필요)

화성/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

2021082201000772400039342

 

 

 

 

 

 

 

 



경인일보 포토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

김태성기자 기사모음

관련기사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