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0301000062000002401

수도권 121개 국회의원 선거구 가운데 3곳 이상의 기초자치단체로 묶인 선거구는 '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가 유일하다. 강화군(411.4㎢), 옹진군(172.9㎢), 중구(140.2㎢)를 합한 면적은 약 724.5㎢로 서울시(605.2㎢)보다 넓은 '매머드급' 선거구다.

서울 면적의 1.19배인 중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를 책임지는 국회의원은 1명이다. → 그래픽 참조

강화군과 옹진군은 지난 20대 국회(2016~2020년)부터 하나의 선거구(당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로 통합됐다. 지금도 강화군에서 옹진군으로, 옹진군에서 강화군으로 직행하는 길이 없어 두 지역은 생활권이 전혀 다르다.

강화군은 2017년 3월 인천김포고속도로(수도권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 전까지 경기 김포, 인천 서구를 거쳐야만 인천 내륙으로 진입할 수 있었다.

그래서 애초 강화군은 국회의원 선거구도 오랫동안 계양구(15대), 서구(16~19대)와 묶였다. 매머드급 선거구의 탄생이 생활권이나 지역 특성보다 정치적 유불리를 더 많이 고려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수도권 유일 3개 이상 지역 묶여
인구 감소 계속되자 '선거구 통합'


강화군 주민들은 2016년 2월 선거구 획정 이후 '선거구 땜질 지역'으로 황폐화하고 있다며 강화군의 '경기도 환원'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군청과 정치권에 내기도 했다.

강화군과 옹진군의 인구 감소 추세가 지속하면서 국회의원 선거구가 다른 지역과 합쳐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지난 20대 국회를 기준으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처럼 4개 이상 기초단체가 하나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구성된 사례는 전국에서 강원 3곳, 전북 1곳, 전남 2곳, 경북 2곳, 경남 2곳이다.

모두 인구 감소 문제가 심각한 비수도권 낙후 지역이다. 수도권은 물론 비수도권의 광역시에서도 인천처럼 4개 기초단체를 묶은 선거구는 없었다. 2020년 시작한 21대 국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dd3.jpg
사진은 영흥도 버스터미널 주변.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강화주민들 '경기도 환원' 요청도
생활권 달라 지역 이슈도 제각각


이번 21대 국회는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이 중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에서 당선돼 산 넘고 바다 건너 의정활동을 하고 있다.

중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는 '정치 1번지'라 불리는 서울 종로구(23.9㎢) 선거구의 30배에 달하는 면적으로, 중구·강화군·옹진군 유권자 수는 19만7천840명이고 종로구 유권자 수는 13만4천989명이다. 종로구는 걸어서 선거구 곳곳을 방문할 수도 있는 지역이다.

배준영 의원은 여의도 국회와 가까운 '수도권 국회의원 특수'를 전혀 누리지 못한다.

하루에 강화군, 중구 영종도와 구도심 지역을 모두 찾으려면 이동거리만 100㎞ 정도고, 강화군과 옹진군을 하루 동안 동시에 방문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여객선을 타야 갈 수 있는 섬만 수십 곳이라 국회 일정을 소화하면서 임기 중 한 번 들르기도 힘에 부친다고 한다.

배준영 의원은 "선거운동 당시 1박2일 일정으로 백령도에 갔는데 기상악화로 배가 뜨지 않아 3박4일 만에 나온 적도 있다"며 "수시로 지역 곳곳을 다니며 현안을 챙겨야 하는데, 물리적으로 힘들 때가 많다"고 말했다.

dd21.jpg

지역 배준영 의원 방문일정 벅차
"백령도서 3박4일만에 나오기도"


중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는 대한민국의 '육·해·공' 현안을 모두 담고 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인천항과 대규모 배후단지가 있으며 경제자유구역(영종국제도시), 신도시와 구도심, 서해 5도와 NLL(북방한계선), 한강하구, 선사시대 고인돌부터 고려·조선에 이르는 역사문화유산, 갯벌과 멸종위기종 번식지 등 자연유산, 대규모 화력발전소, 제조업과 물류업, 농업과 어업 등 지역 이슈도 제각각이다.

정치적 중요성 측면에선 다른 어느 지역 못지 않지만, 유독 정치에서 소외돼 있다. 정치권이 강화군·옹진군을 수도권이란 '한 덩어리'로 보는 이유가 크다.

배준영 의원은 "특성이 각각 다른 지역들의 다양한 현안을 국회의원 1명이 챙겨야 하므로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며 "정치권이 강화군과 옹진군을 단순히 수도권으로 엮지 말고 더욱 특별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호·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

2022040301000062000002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