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 대한 꿈을 품고 목숨 걸고 탈북한 청소년들의 상당수가 한국에서 느끼는 문화적 이질감과 학력 격차에 신음하고 있다.

말투가 다르고 체형이 작아 한국 학생들에게 왕따를 당해야 했고, 공부를 더하고 싶지만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취업훈련만 받기도 한다.

정규학교 과정을 도저히 못견뎌 '대안학교'로 옮긴 청소년들은 열악한 시설과 교사들의 잦은 이직에 또다시 좌절하고, 이같은 역경을 극복하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영어와 수학 등 기초학문의 장벽에 막혀 대학생 아닌 대학생의 신분을 겨우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탈북청소년들의 교육 시스템을 전면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기서북부하나센터의 남진애 상담사는 "탈북청소년들이 한국에서 고립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학습지원 뿐 아니라 심리정서적인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며 "현재 통일부의 정착지원 방향은 물질적 지원 위주인데, 탈북의 아픈 과정과 이질적 문화로 한국에서 위축되고 있는 탈북청소년들의 자존감을 높여 줄 심리치료가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안학교(민간교육시설)를 현실적으로 양성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상훈 탈북청소년 한마음캠프 총괄팀장은 "정규학교에 들어갔다 학력과 학령(學齡) 차이 때문에 좌절, 대안학교로 옮겨 검정고시를 보려는 탈북학생들의 선택도 분명 존중할 필요가 있다"며 "일정규모의 학생들이 있는 대안학교에 대해 국가가 정교사를 지원하거나, 상주교사를 고용할 수 있도록 재정적 뒷받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탈북대학생의 학자금 지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학 예비과정'을 개설, 이 과정의 이수를 전제로 학자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무지개청소년센터 윤상석 부소장은 "탈북자들이 대학에 진학하면 정부가 50~100%에 달하는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며 "대학 입학전에 영어·수학 등 기초적인 학문과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내용들을 가르치는 대학 예비과정을 개설하고, 이 과정을 이수토록 한 뒤 학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또 "학력 격차에서 오는 좌절감 때문에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 방학 등을 이용해 학과 수업을 보충할 수 있는 보충교육 과정의 개설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선회·권순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