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녀 시의원, 절차적 문제 지적

市는 답변서·공식입장 아직 없어

수백억원대의 용인시 공공하수도시설 단순대행관리 민간위탁 사업자 선정 작업이 안갯속이다.

시는 지난해 12월6일 해당 사업과 관련된 평가위원회 심의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당일 갑자기 취소한 이후 4개월이 넘도록 ‘내부 검토중’이란 애매한 입장만 고수한 채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카더라식 소문만 확산되고 있다.

신현녀(경제환경위원장) 의원은 지난 9일 제292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공공하수도시설 단순관리대행 사업 추진과정서 나타난 절차적 문제를 지적(4월9일 인터넷 보도)했다.

신현녀 용인시의원 “용인시 공공하수도시설 단순관리대행 공모중단 명확한 해명 있어야”

신현녀 용인시의원 “용인시 공공하수도시설 단순관리대행 공모중단 명확한 해명 있어야”

문제를 지적했다. 신 의원은 “시가 예산절감과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기존 개발위탁 방식에서 올해부터 3년간 용인시 관내 공공하수도시설의 운영·관리 업무를 단순관리대행 방식으로 통합해 민간에 위탁하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사업의 규모와 성격에 비해 행
https://www.kyeongin.com/article/1735556

신 의원은 당시 올해부터 3년간 총 311억원 이상이 투입되는 대규모 공공사업임에도 지난해 12월 평가위원 구성 당시 1차에 602명을 모집하고도 2차에 335명을 추가 모집, 총 937명을 접수받은 뒤 이중 342명을 제척해 최종 595명만을 선정한 과정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요구했다.

또 평가위원이 구성됐음에도 명확한 사유 없이 심의 자체가 취소된 것을 두고 특정업체의 유불리를 의식한 조치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해명을 촉구했다.

하지만 시는 아직까지 시의회에 답변서 제출이나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와관련, 시는 계약기간이 끝난 기존 개별 관리대행 업체들에게 오는 6월 말까지 한시적인 운영권을 연장해준 상태다.

이로인해 단순대행관리 민간위탁 사업자의 최종 선정을 위해선 늦어도 이달 내에 공모가 진행돼야 할 상황이다. 그럼에도 기존 공모방식에서 평가위원 선정만 다시 할 것인지, 심사위원 인력풀을 더 확대할 것인지, 개별관리체제로 다시 전환할 것인지 등의 방식과 방향성에 대한 시의 공식 입장이 없어 근거 없는 소문만 퍼지고 있다.

신 의원도 앞서 평가위원회 심의 취소에 대한 명확한 해명과 관련 문서 즉각 공개, 특정업체 중심의 유불리 논란에 대한 전면적인 진상조사와 대책 마련, 사업자 선정 절차 전반에 대한 외부 감사 실시 및 재발 방지책 수립 등을 요청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공모 중단 후 여러 근거 없는 의혹들이 제기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지만 객관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확고한 방법을 찾는 물리적 시간 때문에 늦어지고 있다”며 “조만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용인/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