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여성 전략공천 대상자다', '유권자를 현혹시키려는 허풍이다.'
경기지역에서 출마 의사를 밝힌 여성 공천 신청자들을 둘러싸고 곳곳에서 파열음이 흘러나오고 있다. 여야가 공천 과정에서 일정 수준 이상 여성 몫을 배려하거나 의무화하는 등 '여심잡기' 경쟁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공천을 신청한 여성들은 전체의 5%안팎에 그치면서 나타난 현상들이다. 여성 예비후보들은 저마다 전략 공천 대상자임을 자처하고 있는 반면, 이들과 경쟁해야 하는 남성 정치인들은 '근거없는 낭설'이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21일 여야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정미경(수원 권선) 의원 등 현역의원 4명을 포함해 모두 10명의 여성이, 민주통합당은 비례대표인 김상희 의원 등 9명의 여성이 각각 공천을 신청했다.
도내 공천 신청자가 200명인 새누리당은 5%, 178명이 공천 신청한 민주당은 5.05%로, 여야 모두 여성 대표 체제에서 어느 때보다 여성 공천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관측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공천 신청률을 보였다.
이같은 '희소성'으로 여성 공천 신청자가 포함된 지역에서는 '전략공천' 여부를 놓고 뜨거운 공방전이 거듭되고 있다.
'지역구 15%여성공천'을 천명한 민주당의 경우 고양 일산서구에서 김현미 전의원과 공천 경쟁을 벌여야 하는 김두수 전 사무총장이 "여성 전략 공천은 안된다"며 당대표실을 항의 방문하는 등 심한 갈등을 겪고 있다.
남부권의 A지역에서도 전직 국회의원의 조카며느리가 공천 신청을 하면서 '전략공천 대상자'라는 설이 나돌아 공천 경쟁자들의 반발을 샀고, 서부권 B지역은 검사 출신 여변호사의 공천 신청을 놓고 지역위원회 운영위원들이 '전략공천 반대' 기자회견을 갖기도 했다.
새누리당도 동부권 C지역에서 한 여성 기업인이 공천을 신청하면서 전략공천설이 나돌아 상대 공천 신청자들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와 관련, 민주통합당의 한 공천심사위원은 "지금 현재까지 그 누구도 전략 공천이 이뤄지지 않았으며, 전략 공천지역으로 정해진 지역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재규기자
"내가 여성공천 대상자" vs "유권자 현혹하는 허풍"
경기도내 女 전략공천 여부놓고
공방 가열… 곳곳서 파열음
입력 2012-02-21 23:5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02-22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