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인천 송도에 사무국이 들어선 녹색기후기금(GCF)에 재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혀 GCF 조기 정착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정부는 러시아의 이같은 입장에 대해 즉각 환영 입장을 나타냈다.

올레그 샤마노프(Oleg Shamanov) 러시아 기후협상관은 블룸버그가 13일 보도한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유엔녹색기후기금에 재원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샤마노프 협상관은 독일 본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기후변화 회담(United Nations-led climate talks)에 참석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 주요 국가들이 그동안 GCF 재원 마련에 소극적이었던 점에 비춰보면, 이번에 러시아가 GCF 기금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선진국들의 입장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샤마노프 협상관은 "우리는 돈에 대한 법적인 책무가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며 "이것은 이러한 맹세를 기다리고 있는 개도국들을 깨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블룸버그는 또 샤마노프 협상관이 "러시아는 의무적인 지불에 갇혀있는 것보다는 자발적으로 GCF에 기여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같은 발언의 의미에 대해서 "러시아가 지구온난화에 함께 대항하기 위해 더 가난한 나라들에 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이같은 러시아측의 발언을 전해 들은 한국 정부 관계자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3일 블룸버그 보도에 대한 입장을 묻는 경인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GCF 재원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지 않은 단계에서 먼저 나섰다는 점은 GCF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그동안 세계 강대국 가운데 GCF재원 조성 지원 뜻을 강하게 밝힌 곳은 없었다"고 말했다.

GCF 사무국은 오는 5월 송도에서 열리는 제7차 회의에서 초기 재원 조성을 위한 사업 모델을 확정할 예정이지만 아직 선진국들이 확실한 재원 공여 계획을 밝히지 않아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동안 인도네시아만 유일하게 25만달러의 재원 공여 계획을 밝혔고 나머지 국가들은 재원 지원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12월 인천을 찾은 헬라 쉬흐로흐 GCF 사무총장은 "2020년까지 1천억달러의 기금을 조성하기로 했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목표를 이루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며 "많은 선진국이 GCF에 기금을 출연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설득하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홍현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