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원시의회의 행태가 한심스러울 정도다. 대통령에 대한 막말 파문을 일으킨 새정치민주연합 백정선 의원의 사퇴를 요구하는 새누리당 의원들과의 대치로 파행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원 구성 때도 상임위원장 배분을 둘러싸고 자리다툼을 벌였는데 이번에는 백 의원 문제를 둘러싸고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상임위원회 활동이 올스톱 됨에 따라 조례안 행정사무감사 일정 등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자신들을 뽑아준 시민 알기를 우습게 아는 처사다.
수원시의회는 지난 13일 열린 제307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백정선 의원의 막말 진상을 조사하기 위한 '윤리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표결 끝에 부결시켰다. 시의회는 새누리당 심상호 의원 등 13명이 제출한 윤리특위 구성안 처리를 놓고 2차례 정회하며 논란을 벌인 끝에 전자투표를 통해 출석의원 32명 가운데 반대 16명, 찬성 15명, 기권 1명으로 이같이 결정했다. 새누리당 한명숙 의원은 당을 대표해 삭발까지 하면서 향후 의사일정을 전면 거부하겠다고 선언하며 아직도 반발하고 있다.
일부 새정치연합 의원들은 이에 대해 맞받아치고 나섰다. 새누리당이 백 의원과 관련된 공세를 이어갈 경우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이 아내 등의 명의로 화원을 운영하며 판매를 강요한 것을 공론화하고 윤리특위를 구성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쯤되면 폭력만 없었지 거의 난투극 수준이다. 지방의회가 본연의 임무를 망각한 채 불협화음이 나오고 있는 곳은 수원시의회뿐만은 아니다. 경기도내 곳곳 기초자치단체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파행을 겪었거나 겪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풀뿌리 민주주의의 기초가 되는 기초의회마저 국회와 닮은 꼴이 된 지 오래여서 이를 지켜보는 시민들은 혀를 찰 뿐이다.
이러다가는 시민들이 기초의회 폐지운동이라도 벌일지 모른다. 자질 미달의 지방의원들은 그동안 관광성 해외 연수, 각종 불·탈법에 연루돼 주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기 때문이다. 20여년이 넘도록 자리잡지 못하고 시민들을 괴롭히기만 한다면 없는 게 차라리 낫다는 논리다. 지금이라도 당장 의회를 정상화시켜라. 연간 4천500만원이 넘는 돈을 받으면서 본연의 임무인 의사일정을 안 한다면 의정활동비를 즉시 반납하고 의회를 떠나는 게 시민들을 위한 도리다.
수원시의회, 시민들을 우습게 보나
입력 2014-10-16 20:2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4-10-17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