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전 국회의장은 동아일보 정치부 기자를 거쳐 지난 1963년 제6대 총선에서 국회에 진출한 뒤 7·10·11·12·14·15·16대 의원을 지내 8선의 관록을 기록했다. 특히 제6대 총선에서 당선될 당시 31살의 나이로, 당시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의 기록을 세웠다.
14대와 16대 국회에서 두 차례나 국회의장을 지낸 한국의 대표적인 정치 원로다.
이 전 의장은 언론인 시절의 인연으로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에 의해 발탁돼 정계에 입문했다.
8선 의원과 국회의장을 지내면서 누구보다 화려한 이력을 가졌지만 '대쪽' 같은 정치적 활동으로 많은 굴곡을 겪기도 했다.
7대 의원 시절인 지난 1969년에는 3선 개헌 반대투쟁에 앞장섰다가 약 8년간 정치활동의 공백기를 맞는 시련을 겪기도 했고, 13대 때는 지역구에 출마했다가 고배를 들기도 했다.
하지만 14대 민자당 전국구로 다시 원내로 돌아왔고, 1993년 4월 당시 박준규 국회의장이 재산공개 파동으로 낙마하자 그 뒤를 이어 국회의장의 자리에 올랐다.
그해 12월에는 통합선거법 등의 날치기 사회를 거부해 당시 김영삼 대통령과 불편한 관계가 되기도 했지만, 이로 인해 남다른 '뚝심으로 여야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평가도 받았다.
1997년에는 당내 대선후보 경선 결과에 불복해 탈당한 이인제 후보를 지원해 전국구 의원직을 버리고 국민신당에 합류하는 정치 모험을 강행하기도 했다. 이후 이인제 후보의 대선 패배 뒤 거취를 놓고 고민하다 98년 9월 6명의 국민신당 의원을 거느리고 여당인 국민회의에 입당했다.
2000년 새천년민주당 소속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된 16대 국회에서는 두 번째 국회의장을 지냈다.
5공 당시 국민당 총재와 97년 대선 이후 국민신당 총재 시절을 제외하고 줄곧 여당생활만 했다는 점에서 일부 비판적 평가도 있지만 '꼿꼿하고 바른말 잘하는' 원로정치인이라는 평가가 앞선다.
2004년 16대 국회의원을 끝으로 정계에서 은퇴한 이후에도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등을 맡아 정계 원로로서 후배 정치인들에게 거침없이 곧은 말을 하기도 했다.
고인은 대구 출신으로 연세대 졸업 후 1956년 동화통신을 거쳐 1959년 동아일보에 입사, 정치부 기자를 거쳐 일본·미국 특파원을 등을 지냈다.
유족으로는 부인 한윤복 씨와 장남 승욱, 딸 승희·승인 씨 등 1남2녀를 두고 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