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0101000012500000411

찬성 75.1%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불구
대선 이전 41.7% vs 대선 이후 33.4%
4년 중임제 28.4%… 이원집정부제 18.7%

지방정부 권한·자율성 확대 응답 64.9%
중앙집중 유지 21.4%보다 3배 이상 많아


최근 정치권에서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절대 다수의 국민들도 개헌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력구조는 4년 중임 대통령제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인일보 등 한국지방신문협회가 리얼미터에 의뢰한 여론조사 결과 "개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41.7%가 대선 이전에 개헌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뒤를 이어 대선 이후에 추진해야 한다는 비율은 33.4%로 나타나 75.1%가 개헌에 찬성하고 있었다. 개헌반대를 주장하는 응답자는 9.6%에 불과했다. 모름/무응답은 15.3%였다.

'대선이전' 개헌을 주장하는 의견은 지역별로는 대구/경북(48.0%)과 호남권/제주(45.0%) 지역에서, 연령별로는 만 60세 이상(49.9%)과 50~59세(45.9%), 지지정당별로는 비박보수신당(56.7%)과 새누리당(55.6%) 지지층 등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대선이후'라는 응답은 호남권/제주(35.5%), 30~39세(41.2%), 더불어민주당(53.2%)과 정의당(61.0%)에서 각각 높게 나왔다.

"만약 헌법을 개정해 권력구조를 바꾼다면, 어느 방안이 가장 바람직하냐"는 질문에는 28.4%가 4년 중임 대통령제를 꼽았다. 이원집정부제(18.7%), 분권형 대통령제(14.2%), 의원내각제(13.5%)가 뒤를 이었다. 모름/무응답은 17.5%였다.

'4년 중임 대통령제'를 선택한 의견은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30.6%)과 수도권/강원(29.6%) 지역에서, 연령별로는 50~59세(32.7%)와 60세 이상(32.2%). 지지정당별로는 새누리당(37.7%)과 더불어민주당(34.1%) 등에서 주로 나타났다.

'이원집정부제'는 대전/충청/세종(22.4%), 60세이상(24.9%), 비박보수신당(30.0%)에서, '분권형 대통령제'는 호남권/제주(20.1%), 30~39세(15.4%), 정의당(20.6%)에서 각각 높은 편이었다.

'모름/무응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수도권/강원 및 대구/경북(17.9%), 19~29세(34.8%), 지지정당 없음/잘모름(39.5%)에서 많았다.

"우리나라의 발전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가 국가가 해야 할 일(국가기능)이나 재정·예산 등을 서로 어떻게 조정하는 것이 좋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64.9%가 지방정부의 권한 및 자율성을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현상 유지/중앙정부 권한집중은 21.4%, 모름/무응답은 13.7%로 조사됐다.

'지방정부 권한/자율성 확대'는 지역별로는 호남권/제주(72.8%)와 부산/울산/경남(68.1%), 연령별로는 30~39세(71.2%)와 40~49세(67.0%),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81.4%), 정의당(78.6%)의 주된 응답이었다.

'현상 유지/중앙정부 권한집중'은 수도권/강원(24.0%), 60세이상(36.7%), 새누리당(49.2%)에서 비교적 많이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대구/경북(15.1%), 19~29세(26.2%), 지지정당 없음/잘모름(32.5%)에서 많았다.

/전시언기자 cool@kyeongin.com

※이번 조사는 경인일보와 한국지방신문협회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2016년 12월 22일부터 25일까지 4일간 전국 6천777명 만 19세 이상 유권자를 대상으로, 전화면접·스마트폰앱·자동응답 혼용 무선(85%)·유선(15%) 임의 전화걸기 및 스마트폰알림을 통해 실시했고 응답률은 19.7%를 기록했다.

통계보정은 2016년 11월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1.2%p이다. 그 밖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