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내 거버넌스 구축 '미비'
행정·시민사회 조직 이어줄
도시재생지원센터 역할강화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주민의 공감과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민·관의 중간 조직인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천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도시재생뉴딜정책연구회는 26일 오후 3시 시의회 의원총회의실에서 '2019 인천도시재생 비전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전찬기 인천도시재생지원센터장, 정혜영 TIUM(티움) 대표, 김효진 (사)자치와공동체 도시재생연구회 회장, 서종국 인천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교수, 인천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이왕기 박사, 강인모 인천시 재생정책과장 등이 참여했다.

도시재생사업에서 현장 활동가로 활동하고 있는 김효진 (사)자치와공동체 도시재생연구회 회장은 "현장 활동가들이 지역사회 다양한 영역의 사람들과 함께 의제를 찾고 해결방안을 만들어야 하는데 도시재생 현장은 아직 이러한 거버넌스가 완전히 구축되었다고 보기 어렵고 행정이 주도권을 갖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주민협의체와 지역활동조직이 중심이 돼 지역에서 쇠퇴한 곳을 살려 나가자는 사업이기 때문에 주민의 참여, 현장 전문가의 노력, 중간 조직의 민·관 가교 역할이 중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천에서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으로 선정된 곳은 모두 9곳이다. 전문가들은 민·관 가교 역할을 하는 인천도시재생지원센터가 역할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혜영 티움 대표는 "현장센터가 집행·결정권이 전혀 없고 명확한 고유 업무가 부재한 상태며, 현장 전문가들의 전문성도 부족하다"며 "지역의 변화를 위해 도시재생지원센터는 기존 행정조직, 시민사회조직이 더 연계할 수 있는 조직 구조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전찬기 인천도시재생지원센터장은 "현재 센터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명확한 법적 근거가 불명확하고 유관 조직과 연계가 잘 되지 않고 있는 점, 낮은 위상 등이 문제점이자 개선 과제"라며 "센터의 기능을 강화해 전문가와 활동가들을 교육하고 주민의 역량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