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 시정이슈 보고서 발표
GCF 지원 교육사업 적극 활용


인천시가 녹색 산업을 키우고 북한을 비롯한 개발도상국과의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송도 소재 국제기구 GCF(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가 추진하는 개도국 기후변화대응 교육 사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시 개발도상국 기후변화대응 능력배양사업' 시정 이슈 제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박은영 인천연구원 인천기후환경연구센터 연구원은 이 보고서에서 "인천은 송도에 GCF를 유치했음에도 이와 관련한 금융사업을 부흥시킬 생태계를 조성하지 못했다. 인천의 산업 발전, 기후금융 분야 성장, 기후변화 선도도시라는 이미지 제고를 위해 GCF와 연계해 개도국 교육 역량을 키우고 확산할 필요가 있다"며 "증가하는 개도국 기후변화대응 능력배양 교육프로그램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인천시가 정책·인프라적 특징을 활용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GCF는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대응 능력배양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GCF는 교육 프로그램 이행기구로 인증을 한 기관과 함께 사업을 벌이는데, 세계 30여개 인증기관 중 우리나라는 2016년 인증받은 산업은행이 유일하다.

GCF로부터 인증을 받는 데에는 최소 1년에서 2년까지 걸린다. 시가 자체적으로 인프라를 구축해 이행기구 인증을 추진하거나 인천대 기후협력학과, 한국국제협력단 국제개발협력센터와 같은 유관기관의 이행기구 인증 지원을 준비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 연구원의 판단이다.

GCF가 최근 북한과의 공식 연락 창구를 개설하는 등 대북 사업 지원에 관심이 많은 만큼 GCF 교류 사업을 대북 교류의 통로로 이용할 수 있는 여지도 충분하다.

박은영 연구원은 "GCF와 함께 개도국 교육 사업을 시작하면, 녹색기후 관련 산업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북한 재해 예방·복구 사업에도 적극적 역할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