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 버스용역 착수 보고회1
박남춘 인천시장이 20일 오전 인천시청 접견실에서 열린 '인천 시내버스 노선운영체계 개편 및 효율화 방안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주재하며 주요 사항을 보고받고 있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빅데이터 기반 새 버스안 마련
이용객 맞춤형·환승기능 강화
'공영차고' 2026년까지 14곳 ↑
원가의 73% 수준 요금 인상도

인천시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대대적인 노선 개편에 착수했다.

이용객 증대와 합리적인 원가 절감으로 재정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인천시는 20일 시청 시장접견실에서 '시내버스 노선체계 개편 및 효율화 방안 연구용역' 착수 보고회를 개최했다. 인천시는 내년 7월 31일부터 새 노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지난 2016년에도 준공영제 효율화를 위해 노선을 전면적으로 뜯어고쳤으나 승객은 오히려 감소했다.

연간 이용객은 2016년 3억600만명에서 2017년 2억8천100만명, 2018년 2억7천500만명으로 줄어들었다. 인천시는 3년 전 버스 개편이 실패했음을 인정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 개편안을 내놓기로 했다.

용역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인천연구원, 인하대학교, 한국종합기술 등 4개 기관이 맡았다.

인천시는 굴곡 노선을 직선화하고, 현재 75%인 간선노선(장거리)의 비중을 줄여 지선 노선(단거리) 위주로 개편하기로 했다.

학교와 직장, 상권, 역, 터미널 등 이용객 동선을 최대한 고려해 노선을 짜고, 장거리 승객을 위해 환승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이번 노선 개편으로 연간 1천375만명의 승객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시의 노선 조정 간섭을 받지 않는 한정면허 8개 업체 16개 노선은 면허 갱신을 거부하는 방법으로 폐지할 계획이다. 8개 업체 모두 내년 7월 31일 이전 기간이 만료된다.

한정면허 노선의 연간 승객 3천만명을 준공영제 노선으로 유인하겠다는 구상이다. 지하철 개통 이후 버스 승객이 과다하게 줄어든 노선도 과감하게 재조정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또 버스가 승객없이 빈 차로 다니는 거리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현재 4곳인 공영차고지를 2026년까지 14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지금은 장수동과 서창동, 송도, 청라 등 4곳 밖에 없어 타 지역 버스들이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하는 불편과 연료 낭비 문제를 겪고 있다.

2009년부터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인천시는 매년 1천억원이 넘는 예산을 버스 회사 적자 보전비용에 투입하고 있고, 2024년에는 지원금이 2천억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인천시는 노선 개편과는 별도로 현재 원가 대비 73% 수준에 머물고 있는 버스 요금의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개편안이 나오면 시민공청회와 설명회,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어 의견을 추가 반영한 뒤 최종안을 확정해 내년 7월 31일부터 적용하겠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