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화, 경제적 운영 환경피해 줄여
권역화, 부지 최소화·여러곳서 반발
市, 주민협의체 구성 공감대 주력
인천시가 발생 폐기물을 지역 안에서 처리하기 위한 자체 매립지 조성 사업에 첫발을 떼면서 과연 어느 지역이 후보지로 선정될 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지역 갈등과 소각장 등 필수 시설의 확충 문제 해소를 위해 인천시와 10개 군·구가 어떻게 발을 맞춰갈지가 당면 과제다.
인천연구원은 30일 자체 매립지 선정을 위한 착수 보고회에서 1개 부지를 조성하는 '광역화' 방안과 2~3개 부지를 조성하는 '권역화'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광역화는 10개 군·구의 쓰레기를 한 곳에 처리해 경제적·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고, 동시다발적인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지역에 따라 수송 거리와 접근성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도심 속에 넓은 부지를 마련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권역화는 인접 3~4개 군·구가 공동으로 사용할 소규모 매립지를 여러 개 조성하는 방법으로 접근성이 좋고 부지 최소화의 장점이 있으나 입지 선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 반발이 여러 곳에서 예상되고, 경제적으로 비효율이라는 단점이 있다. 현재로선 1곳에 집중하는 광역화 방안이 유력하다.
후보지는 1단계로 군사보호구역과 관광휴양지, 생태계 보전 지역, 주거밀집지역 등이 우선 배제된다. 2단계로 공사 여건과 부지 취득 가능성, 폐기물 이송 거리, 2차 환경 피해, 상·하수 기반시설, 유지 관리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후보지 우선순위가 정해진다. 남은 것은 가장 큰 난관인 주민들의 동의다.
매립시설의 밀폐와 악취시설 확충, 수송도로의 지하화, 매립지 주변 완충녹지 조성 등 환경피해 저감 대책도 마련되고 있지만, 폐기물처리시설이라는 거부감을 극복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인천시는 이를 위해 10개 군·구와 협의체를 구성했고, 공론화위원회 안건 상정, 500인 시민 대토론회 개최 등으로 자체 매립지 조성 사업의 공감대를 얻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조만간 10명의 군수·구청장이 모여 자체 매립지 사업과 폐기물 정책 전환을 위해 힘을 모으겠다는 취지의 공동 선언을 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이와 별도로 수도권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대체 매립지 조성 사업과 관련해서도 환경부의 주도적인 참여를 재차 요구하는 등 '투 트랙 전략'도 유지하기로 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폐기물 처리 하나 제대로 하지 못하는 도시는 시민이 살기 좋은 도시가 될 수 없다"며 "험난한 일이고, 고통스럽겠지만 우리 후손들을 위해서 꼭 해야 할 일이라는 시민 합의를 이끌어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첫발 뗀' 자체 매립지 조성]1개 부지 광역화·2~3개 부지 권역화 '갈림길'
입력 2019-09-30 21:55
수정 2019-11-18 14:1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0-01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인천시 자체 매립지 조성 '첫발 뗐다'
201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