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지원·대출 주거비 마련 67%
평균 4500만원… 월세 '40만원대'
1년간 예술행사 관람 경험 69.2%
설문내용 반영 4개분야 시정 적용
'청년센터' 설립 지원활동 확대도

인천시가 처음으로 청년의 일자리, 창업, 문화, 생활 등을 아우르는 청년 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일자리나 창업 정책과 같이 청년을 '노동생산성' 측면에서만 바라본 기존 정책에서 청년의 주거, 지역사회 참여, 휴식·힐링·문화공간 조성까지 정책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인천시는 11일 오후 7시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인천 청년실태조사 및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인천 청년을 대상으로 한 첫 실태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인천 청년들은 청년을 위한 정책으로 경제적 지원을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전반적인 청년 정책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연구원이 인천 거주 청년(19~39세) 2천명을 대상으로 벌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청년 고용 촉진 정책'(중복응답)은 '장기근속 유도를 위한 목돈마련 지원'(47.1%)이었다. 청년활동 공간 구축(10.2%), 우수 중소기업 체험(19.8%) 등은 비교적 낮게 평가했다.

부모와 같이 사는 응답자를 제외하면 67%가 부모의 지원이나 대출로 주거비를 마련했고, 평균 대출액은 4천500만원이었다.

평균 전세 규모는 1억3천만원, 평균 월세는 40만원 선으로 나타났다.

매월 지출하는 총 생활비 평균 금액은 약 72만원으로 평균 소득 305만원 중 40%를 생활비와 주거비에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정책에 대한 만족도 관련 질문에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16.9%에 그쳤다. 청년들이 '워라밸', '생활안정', '근무여건'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나 이런 정책이 부족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인천연구원은 분석했다.

최근 1년간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이 있는 청년은 69.2%로, 문화예술행사 관람 시 중요한 선택 기준으로는 '행사의 내용과 수준'(37.7%) 외에도 '비용의 적절성'(24.3%)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많았다.

시는 이 같은 설문 내용을 반영해 '행복한 청년, 변화하는 인천'을 목표로 한 ▲자립 ▲동행 ▲도전 ▲힐링 등 4개 분야에서 청년 정책을 수립해 나가기로 했다.

시는 기존의 일자리 정책은 물론 청년이 자립할 수 있도록 빈집이나 임대주택, 셰어하우스를 활용해 주거 공간을 지원하고, 청년들의 문화 향유 공간도 확대할 방침이다.

또 '청년센터'를 만들어 청년 정책을 지속적으로 연구·발굴하고 청년들의 사회 참여를 돕는 중간 조직도 양성할 구상이다.

김상섭 시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용역결과로 인해 인천시 청년들의 현재 사회경제적 실태와 정책수요에 대해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며 "향후 청년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인천 맞춤형 청년정책을 도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