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쓰레기 독립 선언…지지부진 경기도내 소각장 발등에 불

00.jpg
폐기물 소각시설 확충 계획(~2026년). 2020.11.15 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

경기도 '수도권 매립지 종료' 대비 용량 증설·신설 대책 불구
의정부·광주시 등 지역주민·이웃도시 반발 부딪혀 속도 못내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와 맞물린 인천시의 '쓰레기 독립' 선언(11월 13일자 1면 보도='자체 매립지' 결정한 인천시…경기도 "인천만의 계획일 뿐")에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경기도가 도내 소각장을 신·증설하는 등의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정작 각 지자체의 신·증설 추진은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지난 13일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수도권매립지 종료 등에 대한 대책을 묻는 양철민(민·수원8) 의원 등에 "기본적으로는 수도권매립지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바탕으로 합의하고 있다"면서도 "소각장들의 용량을 증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도내에 있는 9개 매립지에 대해서도 각 시·군에 요청해 권역별로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협의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도내 23개 시·군 내에 있는 소각 시설은 26개소로, 하루에 4천216t을 처리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 사용이 종료된 후인 2026년 소각량이 하루 5천259t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금보다 1천300t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게끔 성남, 화성, 의정부, 광주, 이천, 구리, 안성, 과천, 남양주 등 9개 시에 소각장을 신설하거나 기존 소각장을 증설토록 협의한다는 방침이다.


1면 제1매립장
지난 1992년부터 2000년까지 수도권의 폐기물이 매립되고 현재 골프장으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제1매립장. 2020.1.9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그러나 각 시·군의 소각시설(자원회수시설) 신·증설 추진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의정부시는 2023년 준공을 목표로 자일동 자원순환시설(220t규모) 신축을 추진 중이었으나 지역주민과 포천 등 인접 자치단체 반발로 현재 입지예정지 주변 생물상(동·식물 현황) 조사를 실시 중이다.

남양주시는 1일 250t 규모의 소각시설을 포함한 자원순환종합단지 조성사업을 추진 중인데 전략환경영향평가 진행 및 후보지 3곳에 대한 입지선정위원회의 최종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2017년부터 곤지암읍 수양리 일원에 1일 430t(소각 200t, 음식물 150t, 재활용 80t) 처리규모의 종합폐기물처리시설 건립을 추진 중이나 사업지 인근 이천시 신둔면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다.

하남과 용인 등과 광역시설로 운영한다는 방침이지만 지난 8월 전략환경영향평가(조건부 동의)도 받은 상황에서 이천시와 협의가 잘 되지 않자 현재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한 상태다. → 관련기사 3면(한계 다다른 경기도 쓰레기…매립지 종료 땐 답이 안보인다)

광주·의정부/이윤희·김도란·남국성기자 flyhigh@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이윤희·김도란·남국성기자

flyhigh@kyeongin.com

이윤희·김도란·남국성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