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미용 등 생활 밀접함 연결
'유튜브 프리미엄' 유도 등 단점

군포고등학교 1학년 최서원 학생
군포고 최서원
흔히 FAANG(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의 약자), MAGA(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애플의 약자)라고 불리는 세계적 기업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플랫폼 기업'이다.

플랫폼 기업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이용해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하며 성장하는 기업을 말한다. 우리나라 플랫폼 기업의 예로는 요즘 많은 이들이 이용하고 있고 기업 내에서도 매출을 올리고 있는 배달의 민족과 쿠팡 등이 있다.

이 기업들 역시 빅데이터를 이용한 대표적인 플랫폼 기업에 속하며, 이외에도 법률 플랫폼과 미용 플랫폼 등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작용하는 다양한 기업들이 점점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비대면 문화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졌다. 코로나19는 우리 삶의 방식을 다양한 면에서 바꿔놨는데, 코로나19로 인한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기업들의 마케팅과 생산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많은 콘텐츠를 보유한 넷플릭스는 월 정액요금을 내면 누구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했다. 유튜브 역시 이용하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콘텐츠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밀접하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이들의 삶을 바꿔놨다.

하지만 단기간의 발전이 좋은 것만 이끌어 낼 수는 없기에 이에 따른 단점도 분명히 존재한다.

유튜브는 사용자가 늘자 영상에 광고를 자주 띄우고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을 유도했다. 카카오 택시의 경우 처음에는 손님과 기사에게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했으나, 이용자가 80%를 넘자 스마트 호출 또는 프리미엄 서비스 이용 시 추가 요금을 받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배달 앱으로 '배달의 민족'을 사용하는 김연정(17) 학생은 "배달 팁이 많이 인상된 것 같아 끼니를 해결하는 데도 금전적인 부담이 든다"면서 불만을 토로했다. 음식점마다 요구하는 배달비에는 차이가 있지만 음식값보다 배달비가 비싸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플랫폼 기업들의 발전은 편리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우리의 생활을 지배하거나 의도적으로 소비자의 선택 폭을 좁히는 등에서는 부정적이다. 이러한 지적을 반영해 앞으로 더 개선된 모습의 다양한 기업을 마주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군포고 최서원

※ 위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