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경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8일 인천을 찾아 지역 최대 현안인 '2025년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사용 종료'와 관련해 "냉정하게 보자면 쉽지 않다"며 "중앙정부 해결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이재명 지사는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을 해야 한다"며 자신만의 해법을 제시했다. 인천시가 추진하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 정책이 대선과 얽히며 그 방향이 수정될 가능성이 읽히는 대목이다.
이재명 지사는 이날 오후 인천 남동구 민주당 인천시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수도권매립지에 대한 질문에 "매우 예민한 문제"라고 전제한 뒤 "폐기물 정책은 매립이 아닌 재활용 중심으로 근본에서 바꿔야 한다"고 답했다.
민주당 인천시당 찾아 '해법' 제시
폐기물 매립→재활용 중심 바꿔야
이어 이 지사는 "거기(재활용 중심)에 이를 때까지 쓸 (수도권) 대체 매립지를 2025년까지 만들 수 있느냐의 문제인데, 냉정하게 보면 쉽지 않다"고 했다.

이 지사는 "제일 큰 원칙은 특별한 희생에 대해선 특별한 보상을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숫자가 적다는 이유로, 힘이 없다는 이유로 강요해 왔다는 측면에서 특별한 희생에 대한 수용 가능성을 높이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이 지사는 중앙정부 차원의 문제 해결을 강조하며 "(매립지 문제를) 대한민국의 절반을 차지하는 공리 문제로 접근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중심을 갖고 충분한 보상과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공리문제 정부차원 대안마련 제안
朴시장과 현안 논의… 삼바 방문도
이 지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 앞서 박남춘 인천시장을 만나 지역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는 지난 민선 6기 수도권 지방정부 간 체결한 이른바 '4자 합의'의 이행이 어렵다고 보고 지난해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종료하겠다고 선언한 후 자체매립지인 옹진군 영흥도 '인천에코랜드' 조성, 지역별 자원순환센터(소각시설) 확충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는 서울시와 경기도도 인천 방식대로 매립지 종료에 대비하라고 촉구하고 있으나, 서울시·경기도는 2차례에 걸친 공동 대체 매립지 공모에 실패한 뒤 아직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다.

대통령 경선 후보 중 선두권인 이 지사의 생각은 2025년 매립지 사용 종료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으로, 추후 대선 레이스 과정에서 수도권매립지에 대한 민주당의 정책 방향이 인천시와 방향을 달리할 가능성도 나온다. 이 지사는 이날 민주당 인천시당 당원들을 만난 후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방문했다.
이 지사는 "인천은 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의 최적지"라며 "마침 문재인 대통령도 2025년까지 글로벌 백신 생산 5대 강국을 약속했다. 인천이 바이오 산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하도록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