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남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622조원 투입… 일자리 300만개 창출

입력 2024-01-15 19:57 수정 2024-01-16 14:40
지면 아이콘 지면 2024-01-16 1면

윤 대통령, 수원 방문 3번째 민생토론

평택·화성·용인 등 일일이 열거
당장 올해부터 5년간 158조 투입
안정적 전력 공급 인프라 지원도


2024011601000188700018311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오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세 번째,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1.15 /대통령실 제공

정부가 경기도에 세계 최대의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민간투자 포함, 최대 622조원을 투입한다. 당장 올해부터 5년간 158조원이 투자되고 20년에 걸쳐 양질의 일자리도 최소 300만 개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평택, 화성, 용인, 이천, 안성, 성남 판교, 수원 등 경기 남부의 반도체 기업과 관련 기관이 밀집한 지역을 말한다. 앞서 정부는 용인시 처인구 남사·이동읍 710만㎡를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전력과 용수 등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의 속도를 좌우하는 인프라 문제도 정부가 직접 나서, 적기에 공급되도록 총력 지원키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15일 수원시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이 같은 반도체 주력산업 투자 계획을 밝혔다. 윤 대통령이 경기도를 찾은 것은 지난 4일 경제정책 방향과 9일 주택 문제 해법 찾기에 이어 올들어서만 벌써 3번째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경기남부를 관통하는 지역을 하나하나 열거하며 "반도체 산업은 어느 산업보다도 민생을 풍요롭게 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든다"고 강조했다.

ㄴㅇ231.jpg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될 용인시 남사읍 전경. /경인일보DB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함께 참석한 업무보고에선 올해부터 향후 5년간 158조원이 투자되고, 직·간접 일자리 95만개가 새로 만들어질 것이라는 계획도 밝혔다. 설계, 디자인, 후공정, 소재부품 분야 등 반도체 생태계를 이루는 협력기업 매출도 약 200조원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클러스터 조성 과정에서 문제가 됐던 대규모 전력과 필요한 용수 공급에 대한 계획도 윤 대통령이 직접 밝혔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파운드리 하나 까는데 1.3기가와트(GW)의 원전 1기가 필요하다. 인구 140만명의 대전이나 광주보다 전기를 더 많이 쓴다"며 "고품질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요하고 원전은 이제 필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탈원전을 하게 되면 반도체뿐만 아니라 첨단산업을 포기해야 한다"며 "민생을 살찌우기 위해서라도 원전산업은 계속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남 판교와 수원 및 평택을 중심으로 '반도체 연구개발·교육 거점'을 조성하겠다는 계획도 공개됐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토론회에서 올해 만료되는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와 관련해 "법의 효력을 더 연장해서 앞으로 투자세액공제를 계속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 그래픽 참조

 

→관련기사 (산업의 쌀, 반도체 농사… 윤석열 대통령 "국가단위 주력" 의지)

/정의종·신현정기자 jej@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정의종·신현정기자

jej@kyeongin.com

정의종·신현정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