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자체에 보급된 전기스쿠터가 잔고장등으로 활용도가 낮아 혈세낭비 지적이 일고있는 가운데, 13일 도내 한 지자체에 전기스쿠터들이 방치돼 있다. /전두현기자 dhjeon@kyeongin.com
환경부가 대기환경을 보전한다며 지난 2005년부터 일선 지자체에 보급해온 '전기이륜차(이하 전기스쿠터)'의 대부분이 각종 고장과 기능 저하 등으로 사용이 중단된 채 창고에서 낮잠을 자고 있다.

특히 보관마저 힘들어 애물단지로 전락하면서 아까운 혈세만 낭비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13일 환경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대기환경을 보호하고, 관공서 출장시 기동성 등을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지자체에 소음과 공해가 없는 전기스쿠터를 보급해 왔다.

경기도내 시·군의 경우 2005년 99대, 2006년 52대, 2007년 36대, 2008년 21대 등 모두 208대가 보급됐고 전기스쿠터 1대당 국비와 도비 100만원씩, 총 41억6천여만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그러나 배터리 방전이나 고장, 브레이크 파손 등의 이유로 사용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으로 활용도가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A시의 관계자는 "일반 스쿠터보다 무게가 무거워 다루기 어렵고, 오르막에서 시동이 꺼지는 바람에 애를 먹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며 "한번 고장이 나면 부품을 구하기도 어렵고 수리를 하는데만 1~2 개월은 족히 걸려 아예 사용하지 않는게 훨씬 편리하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H시의 경우도 10여대의 전기스쿠터 중 현재 절반가량인 5~6대 정도만 운행하고 있으며 이마저도 잔고장이 많아 장거리 출장에는 사용하지 않고 가까운 거리를 다닐 때만 잠깐씩 이용하고 있다.

B시의 한 사업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2007년형 전기스쿠터는 운행거리가 100㎞에 불과해 1년에 고작 50㎞씩만 운행, 사실상 새 것이나 다를 바 없지만 창고에 방치돼 있다.

A시 담당자는 "환경부에서 지자체로 할당을 해 어쩔 수 없이 받았지만 앞으로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고민"이라며 "도내에서만 수십억 원, 전국적으로는 수백억원의 예산만 허비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잔고장이나 배터리 충전 등의 문제로 인해 전기스쿠터 활동도가 낮아 우리나라 지형에 맞는 스쿠터가 개발될 때까지 보급을 중단키로 했다"며 "공급업체를 통해 최대한 유·무상 AS를 제공토록 해 활동도를 높일 예정"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