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식 인천시 GCF 전략과장
요즘 대한민국의 뜨거운 날씨만큼이나 세계를 달구고 있는 핫 이슈 중 하나가 '기후변화대응'이라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다.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이면서 교토의정서를 탈퇴하거나 자발적 참여를 외면하였던 미국과 중국도 지난 6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처음 만난 정상회담에서 지구의 기후변화 공동대응을 위한 노력에 합의하였으며, 더 나아가 오바마 대통령은 2기 집권과 함께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탄소배출저감목표를 내놓음으로써 세계의 책임있는 국가들이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GCF 본부를 유치한 우리로서는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세계의 입장변화와 패러다임의 변화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도국과 선진국의 견해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무난한 가교 역할을 위해 전문가적인 역량을 키워나가야 할 때임에 틀림없다. 그것이 GCF 본부의 성장·발전을 위한 가늠자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녹색기후기금, 즉 GCF는 선진국의 기금지원을 통해 개발도상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능력을 키우기 위한 환경전문기금으로서 지난 2009년 15차 UN기후변화협약총회(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설립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2012년 18차 카타르 총회에서 대한민국 인천이 GCF 본부 유치도시로 최종 인준을 받아 탄생되었다. 본부 유치에 성공한 인천시는 2020년쯤에는 세계경제를 이끌어 온 두 개의 축인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에 필적하는 매머드급의 국제기구가 된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지하고, 환경분야 글로벌 질서의 새로운 장을 열어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그린리더십과 다양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 첫 번째 과제로서, GCF 본부의 연착륙을 위한 외교적 역량강화와 리더십 역량강화가 요구된다. 인천시는 중앙정부(기획재정부, 외교부 등)와 함께 GCF의 법적 능력과 법적지위 부여를 위한 'GCF 지원법'과 'GCF 본부협정'의 당위성을 기재위 및 외통위와 법사위 등 관련 국회의원에게 설명하고 올해 안에 GCF 본부가 인천 송도에 안착할 수 있도록 상생의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그 결과 'GCF 지원법'과 'GCF 본부협정'이 6월 임시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으로써 GCF 본부 공식출범을 위한 법적 제반사항에는 현재 파란 불이 켜지게 되었다. 인천시는 선진국·개도국간 가교역할을 위한 리더도시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지속적으로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선진국의 공여를 끌어낼 수 있는 공감대 형성을 위해 헬라 신임 사무총장과 지혜를 모아 나갈 것이다.

/박정식 인천시 GCF 전략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