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사 출신인 그는 18대에 이어 19대 국회에서도 수원비행장 소음으로 인한 주민피해 해소를 위해 국방위에 지원, 야간에는 국방대학원을 다니며 끊임없이 군과 지역 주민의 고충을 파악해 왔다.
수원의 미래가 비행장 향방에 달렸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관련 법 마련은 물론, 지난 2011년 10월 국방부와 함께 수원비행장 이전 부지를 찾기 위한 '민간 연구용역 착수 설명회'도 가졌다.
이와함께 군 비행장 소음피해 배상액으로 현재까지 국방부에서 4천300억원을 지급했고, 내년에도 1천400억원이 지출될 것을 이번 국감 준비과정을 통해 확인한 정 의원은 시급한 비행장 이전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정 의원의 지속된 노력의 결실이 이번 국감을 통해 빛을 보게 됐다.
지난 7일 수원비행장 이전부지 선정과 관련,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정 의원이 "수원비행장 이전부지를 찾았다는 취지의 보고를 받았냐"는 질문에 "관계자로부터 (이전부지를 찾기 위한)연구용역이 있었고, 그 결과가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답했다.
수원비행장 이전부지에 대한 국방부의 최종발표 시기를 가늠할 수 없지만, 이전부지가 2곳으로 압축됐다는 보고는 비행장 이전사업에 더욱더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된 계기가 된 것.
정 의원은 "수원비행장 이전사업이 신속하게 착수될 수 있도록 11월중 지역주민 2천여명으로 구성된 '수원비행장 이전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겠다"며 의지를 불태우는 등 그의 악바리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