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적 그린 스마트밸리사업 추진
'첨단산업 메카'로 자리매김 노력
국민고통 덜어주는 '일자리 추경'
최우선 과제로 삼고 최선 다할 것

18대 초선(구리) 시절 '민본21'의 초대 공동간사를 맡아 당의 혁신에 앞장섰고,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포기를 추진하고 헌정회 연금 폐지, 현역의원의 컷오프 룰제 도안 구성 등 정치개혁과 쇄신활동에 힘을 쏟았다.
그런 이유로 박근혜 정부가 탄생하기 전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으로 발탁돼 당시 비대위원장이었던 박 대통령과 호흡을 맞췄다. 박근혜 정부의 초대 청와대 정무비서관에 기용된 것도 이런 정치적 성장 과정과 무관치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20대 총선을 앞두고 불거진 '진박' 후보군에는 그의 이름이 잘 나오지 않았다.
정치적 태생이 비박계인 데다 학창시절을 보낸 남양주로 일찌감치 내려가 텃밭 다지기에 몰두했기 때문이다.
신도시가 만들어지고 있는 남양주의 현실은 중앙 정치권에서 계파싸움이나 하며 왔다 갔다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 그가 20대 전반기 국회에서 예산결산특위 여당 간사를 맡은 것도 그런 지역사정과 무관하지 않다고 한다.
5일 경인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지금은 당면한 지역 과제를 해결하는데 더 치중할 때"라고 말했다.
남양주를 자신이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준거집단'이라고 밝힌 그는 "오직 남양주 주민들을 생각하고 주민을 두려워하고 남양주를 위해 하루 24시간 고민하고 지역 공약 실천에 온 힘을 다할 것"이라는 게 지금 자신의 역할이고 과제라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남양주는 내 정치의 중심이고 끝"이라며 지역에 대한 애정을 표출했다.
최근 경기북부테크노밸리 입지 선정에서 남양주 유치가 무산된 것에 대해 그는 "오히려 남양주가 독자적으로 그린 스마트밸리 사업을 추진해 독자적으로 첨단산업의 메카로 발전시킬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시 재정에 부담되지 않게 그린 스마트밸리를 확실히 추진하고, 다산신도시 내의 중앙도서관 건립과 진건 하수처리장 악취 줄이기를 위한 환경개선시설 확충에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예결위 여당 간사를 맡은 만큼 지역 현안을 풀어내는 데 더 열중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그는 예결위 여당 간사를 맡은 데 대해서도 "어려운 우리 경제를 살려내는 게 목표"라면서 "야당은 물론 국민들의 목소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해 예산 당국을 설득, 소통 창구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추경예산 편성에 대해서도 "정부가 20조원 이상의 재정 보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 한 마디로 일자리 추경이 돼야 한다"며 "대규모 구조조정과 대외여건 악화로 인한 국민들의 고통을 최우선적으로 덜어주는 추경이 돼야 하고, 그런 자세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