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썰전' 전원책과 유시민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18일 방송된 JTBC '썰전'에서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관련한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전원책은 문재인 대통령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지시에 대해 "제창을 해오던걸 합창으로 만들어 문제가 된거다. 논란을 안 만들걸 논란을 만들어 편이 갈리는거다. 처음부터 이건 논란의 대상이 되는게 아니다"고 말했다.
유시민은 "5.18기념식에서 이 노래를 부르게 된건 역사적 경로가 있었다. 누가 만들어서 부르라고 한게 아니라 5.18 광주민주화운동이라는 역사 속에서 계엄군과 싸우다 돌아가신 분과 광주지역에서 노동운동 하다 돌아가신 분의 영혼결혼식을 할 때 만들어진 곡"이라며 "사람들이 계속 불러왔던 노래를 광주 민주화 운동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행사에서 부르는 수준까지 왔다. 경로의존적으로 온거라 확실한 이유가 없으면 바꾸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전원책은 "하나 짚자면 대통령이 돼 업무지시로 이 문제를 지시했다. 하지만 '의견을 수렴해서 제창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으면 보기 좋았을텐데. 협치, 사회통합이라는 느낌에 어긋나 보이지 않나 싶다. 반대진영 의견도 있다"고 지적했다.
유시민은 "지난해에도 내가 가보니까 5.18 단체들이 정부 공식행사 참석을 거부해 보훈처에서 사람을 동원하고 정상적으로 진행이 안되는 상황이었다"며 "어떤 방식으로든 매듭을 지어야 한다. 제창은 다같이 부르고 합창은 듣기만 해도 된다. 이명박 대통령 때 부르기 싫으니까 합창으로 바꾼거다. 부르고 싶은 대통령이 들어온거니까 대통령 재량이고 업무지시를 한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18일 방송된 JTBC '썰전'에서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관련한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전원책은 문재인 대통령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지시에 대해 "제창을 해오던걸 합창으로 만들어 문제가 된거다. 논란을 안 만들걸 논란을 만들어 편이 갈리는거다. 처음부터 이건 논란의 대상이 되는게 아니다"고 말했다.
유시민은 "5.18기념식에서 이 노래를 부르게 된건 역사적 경로가 있었다. 누가 만들어서 부르라고 한게 아니라 5.18 광주민주화운동이라는 역사 속에서 계엄군과 싸우다 돌아가신 분과 광주지역에서 노동운동 하다 돌아가신 분의 영혼결혼식을 할 때 만들어진 곡"이라며 "사람들이 계속 불러왔던 노래를 광주 민주화 운동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행사에서 부르는 수준까지 왔다. 경로의존적으로 온거라 확실한 이유가 없으면 바꾸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전원책은 "하나 짚자면 대통령이 돼 업무지시로 이 문제를 지시했다. 하지만 '의견을 수렴해서 제창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으면 보기 좋았을텐데. 협치, 사회통합이라는 느낌에 어긋나 보이지 않나 싶다. 반대진영 의견도 있다"고 지적했다.
유시민은 "지난해에도 내가 가보니까 5.18 단체들이 정부 공식행사 참석을 거부해 보훈처에서 사람을 동원하고 정상적으로 진행이 안되는 상황이었다"며 "어떤 방식으로든 매듭을 지어야 한다. 제창은 다같이 부르고 합창은 듣기만 해도 된다. 이명박 대통령 때 부르기 싫으니까 합창으로 바꾼거다. 부르고 싶은 대통령이 들어온거니까 대통령 재량이고 업무지시를 한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상은 인턴기자 ls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