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운동 반환점 돈 인천시당

전술 세밀하게 조정 ‘전열 정비’

 

민주, 가짜 뉴스·네거티브 경계

국힘 ‘1대1 홍보’ 유세방식 전환

 

이준석 “단일화 질문 의미없다”

제21대 대통령선거를 12일 앞둔 22일 수원시내 한 장미꽃 담장에 설치된 선거 벽보를 한 시민이 바라보고 있다. 2025.5.22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제21대 대통령선거를 12일 앞둔 22일 수원시내 한 장미꽃 담장에 설치된 선거 벽보를 한 시민이 바라보고 있다. 2025.5.22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식선거운동이 반환점을 맞으면서 인천지역 주요 정당들도 저마다 전열 정비에 나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책 중심 전략’을 유지하고, 국민의힘은 ‘일대일 선거운동’을 강화하는 쪽으로 선거운동에 나설 전망이다.

22일 민주당 인천시당은 시당·지역위원회 선거대책위원회(선대위) ‘투 트랙’ 체계로 직능 단체 정책 간담회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무진이 일정 조율을 버거워할 정도로 간담회 요청이 끊이지 않고 있어 내부에서 긍정적 평가가 나온다. 시당 관계자는 “정책이나 공약이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시민, 직능 영역에서 제기하신 의견을 차곡차곡 정리, 인천이 요구하는 정책 실현을 위한 작업을 착실히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당은 남은 선거 기간 가짜뉴스나 네거티브 공세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가 치러지는 만큼, 민주당이 수권정당으로서 시민들에게 신뢰감을 주는 데 역점을 두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이재명 후보와 박찬대 상임총괄선대위원장이 인천을 지역 기반으로 두고 있다는 점도 시당은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이재명 후보는 최근 인천 집중 유세에서 “팔이 안으로 굽는다. 제가 사는 동네를 제가 더 잘 챙기지 않겠느냐”고 언급하며 지역 밀착형 메시지를 내보내기도 했다.

국민의힘 인천시당은 초반 단일화 혼선과 당 지도부의 후보 교체 시도 실패 등으로 내부 혼란을 겪었지만 현재는 지역 조직이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고 강조한다. 시당 관계자는 “초반과 달리 시간이 지나면서 생각보다 지역 조직이 잘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선거에 바람을 일으킬 ‘공중전’ 화력이 민주당보다 부족한 건 약점이다. 일부 당협위원장이 공석인 지역은 인천시당이 자체 조직을 동원해 유세를 이어가고 있다.

시당은 남은 기간 유권자들과 눈을 마주치고 도보 유세와 거리 인사를 강화하는 일대일 선거운동에 집중하면서 김문수 후보의 강점을 적극 알리는 홍보 전략을 세워 유세 방식을 전환시킬 계획이다. 직능단체 대상 정책 간담회도 강화할 예정이다. 최근 인천소상공인연합회, 인천한의사회 등과 협약을 맺는 등 하루 2~3건의 간담회를 소화하고 있다.

공식선거운동 이후 두 번째 주말을 앞둔 현재 판세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선두를 유지하는 가운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추격하며 격차를 좁히고 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두 자릿수 지지세를 얻으며 상승세를 타고 있는 형국이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22일 ‘학식먹자 이준석’ 캠페인이 열린 인천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에서 학생들과 학식을 먹으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5.5.22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22일 ‘학식먹자 이준석’ 캠페인이 열린 인천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에서 학생들과 학식을 먹으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5.5.22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이준석 후보는 22일 인하대에서 재학생들과 함께 식사하는 행사에 앞서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공신력 있는 여론조사 기관들의 연합체인 NBS조사에서 10%대 지지율이 나오기 시작했다”며 “단일화 관련 질문은 이제 안 해도 된다.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이 후보가 인용한 여론조사는 코리아리서치 등 4개 여론조사업체가 공동으로 지난 19~21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례조사다.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무선 전화 면접 방식으로 응답률은 26.7%였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