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 일자리가 줄고 국내총생산(GDP)이 뒤따라 하락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민간연구기관인 파이터치연구원은 19일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시 연간 일자리가 40만1천개 줄고 임금소득이 5조6천억원 감소한다는 주장을 폈다.
김재현 연구위원은 이날 '주 52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파급효과'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주 52시간 근무제로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0조7천억원, 소비는 5조5천억원 각각 감소할 것이라며 정책 보완을 주문했다.
그는 근로시간 단축 시 기업들이 연간 23만5천개 숙련공(비반복적 노동) 일자리를 줄일 것이라는 연구를 근거로 제시했다. 숙련공은 부족한 근로시간을 단기간에 신규 고용으로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김재현 연구위원은 이날 '주 52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파급효과'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주 52시간 근무제로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0조7천억원, 소비는 5조5천억원 각각 감소할 것이라며 정책 보완을 주문했다.
그는 근로시간 단축 시 기업들이 연간 23만5천개 숙련공(비반복적 노동) 일자리를 줄일 것이라는 연구를 근거로 제시했다. 숙련공은 부족한 근로시간을 단기간에 신규 고용으로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