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 폐지·무더기 해임 '학교 횡포'에 노조 설립하고 개입 요청
관계자 "절차·규정 확인중… 감사 여부는 부서간 판단으로 결정"
김포대학교에서 교수 9명이 한꺼번에 해임(8월 7일자 5면 보도=김포대 '신입생 허위입학 비리' 꼬리자르기 의혹)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교수들의 진상조사 요구에 교육부가 뒷짐을 지고 있다는 지적이 불거졌다. 김포대는 올해 초 교직원 42명이 친인척과 지인을 허위 입학시킨 뒤 자퇴 처리하는 방법으로 신입생 충원율을 조작했다며 최근 무더기 중징계했다.
11일 김포대 교수들에 따르면 이번 사태는 학교법인 김포대학이 '정보통신과'와 '산업안전환경계열'을 일방적으로 모집정지하면서 촉발됐다.
학교측은 지난 3월26일 법인 임원 간담회에서 2개 학과 모집을 정지하겠다고 갑자기 교수들에게 통보하고 같은 달 30일 교무위원회 표결을 거쳐 4월2일 이사회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해당 학과 구성원의 의견수렴이나 동의도 없이 간담회 발언이 나온 지 1주일 만에 학과를 없애버린 것이다.
이 과정에서 교무위원회에 참석한 학교 측 인사가 '자퇴생 관리를 잘하라'는 식으로 교수들을 질책했고, 이에 한 교수가 "학교 측이 충원율 100%를 맞춰야만 내년에 신입생 수가 줄지 않으니 어떻게든 맞추라고 해 허수 학생을 동원하고 사비를 들여서 채웠다. 자퇴생은 이러한 허수 학생이 빠진 것"이라고 항의한 뒤부터 학교 측이 허위입학을 실행한 교직원들을 문제 삼기 시작했다는 게 교수들의 주장이다.
이후 부당한 폐과에 불복한 교수들이 4월17일 노조를 설립하고 성명을 발표하자 학교 측은 폐지 학과 교수들에게 8월 말까지 퇴직하라고 고지하는 등 갈등이 고조됐다. 그사이 학교 측은 허위입학 연루를 빌미로 이들에 대한 감사를 벌여 징계를 의결했다.
교수 A씨는 "총장이 감사실장을 겸하는 조직 구조상 애초부터 감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었다"며 "6월 중순 교육부 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종합감사를 청구한 데 이어 7월 말에도 교육부 담당 공무원들을 만나 진상조사를 촉구했으나 아직 묵묵부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육부가 학교 측 횡포를 눈감아줄 경우 비정상적인 학사운영은 바로잡히지 않고 결국 학생들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교육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호소했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 관계자는 "학과폐지 절차가 잘 지켜졌는지 규정과 학칙 등 자료를 검토 중이고 민원을 제기한 교수들에게 조만간 답변할 예정"이라며 "(특정)감사 여부는 부서 간 종합적인 판단으로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김포대 허위입학 꼬리자르기' 교수들 호소에도 느긋한 교육부
입력 2020-08-11 22:42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8-12 7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