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도내 문화재 활용 정책 수립과 지자체별 문화재 활성화 사업 추진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도와 도의회는 15일 오후 안양시 안양박물관 교육관에서 '경기도 문화재 활용과 가치 증진'을 주제로 2022 경기도 정책토론대축제를 열었다. 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인 이채명(민·안양6) 의원이 좌장을 맡아 토론을 이끌었고 패널 4명이 참석했다.
먼저 토론에서는 도내 405건 가량의 '지역 문화재 활용사업'을 더욱 활성화해 문화재의 개방과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도의 재정 지원이 충분히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류호철 안양대 교수는 "전국 시도 중 지역 문화재 활용 사업에 도비 지원이 하나도 없는 지역은 경기도가 유일하다. 국비 외에 도비를 지원해 문화재 사업 활성화에 힘써야 한다"며 "다른 지역에선 지역 주민과 청년들을 문화해설자로 직접 양성하거나 사업 운영에 참여하도록 지원한다. 이처럼 경기도가 문화재 사업에 지역과 함께하는 노력과 아울러 지역주민 대상 역사 문화교육도 추가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도 "문화재 활용은 곧 보존 기반을 강화하는 근본적인 일이다. 지역 문화재는 활용을 통해 실질적인 의미와 가치를 지낼 수 있다"며 "사람과 문화재가 함께 행복할 때 진정한 문화재의 활용이라는데 크게 공감한다. 시군이 운영하는 활용 사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기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짚었다.
'道 정책토론대축제' 패널 강조
주민교육으로 인식 개선 의견도
도의 재정 지원도 중요하지만, 문화재에 대한 주민 교육지원 등 인식 개선이 수반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지석 안양시사편찬실 선임연구원은 "문화재가 지역 사회에 있을 때 어떤 장점이 있는지, 어떤 문화적 도움을 주고 어떤 경제적 이익을 주민에게 주는지를 전달하는 인식 개선이 문화재 활용에선 중요한 문제"라며 "경기도는 수도권에 있지만, 서울과의 차이점, 다른 지역민이 방문했을 때 느낄 다양성 등을 고심해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홍 한국문화유산연구센터장은 "지역 문화재 활용 사업 건수가 지난 몇 년 동안 100배, 예산 규모는 200배 가까이 많아지는 성과를 얻었다"며 "문화재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한 문화재형 일자리 창출을 통해 산업으로 활성화하는 등의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