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 의원은 이날 경인일보와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최종 결정은 국민이 해야 하며, 국민에게 선택권을 드리는 게 맞다"며 "국민투표를 해야 된다"고 밝혔다.
그는 "(세종시 문제가) 정치권에서 논의될 경우 정치 쟁점화되기 쉽고, 정치권이 이미 결정했던 문제이므로 정치권이 다루는 게 맞지 않다"고 국민투표를 주장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대국민 약속' 등을 이유로 원안 고수 입장을 밝힌데 대해 "정치권이 국민에게 약속한 문제이기도 하지만 국가적 장래가 달린 문제"라며 자족성의 문제, 행정 낭비, 유사시 안보공백 등을 세종시 수정이 필요한 이유로 꼽았다.
차 의원은 "이 문제를 친이(친이명박), 친박(친박근혜)의 정파적 갈등으로 보는것도 맞지 않다"며 "국가 백년대계에 관한 문제이므로 정부가 수정안을 내놓으면 정파를 떠나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 의원은 그러면서 "정부안이 내주 말 또는 중순께 발표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안이 발표되는 것을 보고 새로운 결단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나라당 공성진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헌법 72조는 필요하다면 외교·통일·국방·국가안위에 대한 사항을 국민투표에 붙일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며 "국회가 세종시 관련 의견을 수렴하되, 국가안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국민투표에 부의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 최고위원은 당내 세종시특위를 구성, 정부가 제시할 대안을 포함해 의견 수렴 작업을 벌일 것을 제안하면서 "어찌됐든 세종시 문제는 올해 안에 결론을 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