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와 황우여 대표, 국민안전도우미들이 11일 오전 여의도 새누리당사에서 열린 국민안전본부 출범식에서 '국민안전운동본부' 피켓을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는 11일 유신 시대 대표적 공안 사건인 인혁당 사건 평가 논란과 관련, 대법원 판결뿐 아니라 관련자들의 증언까지 감안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후보는 오전 국회 본회의장 입장에 앞서 인혁당 사건에 대해 "대법원에서 상반된 판결이 나온 것도 있지만, 한편으론 그 조직에 몸담았던 분들이 최근 여러 증언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것까지 감안해 역사 판단에 맡겨야 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민주당·신한국당 국회의원을 지낸 박범진 전 한성디지털대 총장이 지난 2010년 출간한 학술총서 '박정희 시대를 회고한다'에서 "(1964년 1차)인혁당 사건은 조작이 아니다"라고 증언한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박 전 총장은 당시 "입당할 때 문서로 된 당의 강령과 규약을 봤고 북한산에 올라가서 오른손을 들고 입당선서를 한 뒤 참여했다"고 말했다.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도 2011년 '보수가 이끌다'라는 공저에서 1차 인혁당 사건을 언급, 인혁당이 자생적인 공산혁명 조직이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인혁당 재건위 사건'(2차 인혁당)의 경우, 실체는 있었지만 인혁당 재건위가 실제 한 일이 거의 없었는데도 가담자 대부분이 사형 선고를 받은 것은 과도한 처벌이었다고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민주통합당은 박 후보의 인혁당 발언과 관련, '오만한 역사인식'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은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가 발표한 의원일동 명의 성명서를 통해 "박근혜 후보의 인혁당 발언은 사법부의 권위를 부정하는 초사법적인 헌정질서 파괴행위이다"며 "사법부의 독립을 믿지 않는 대통령은 온 국민을 불행하게 만들고, 잘못된 역사관은 잘못된 미래를 만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