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신항로 피해 입증 불구
수공·항만공사등 관계기관
퇴적량·비용 판단못해 지연
선박 안전 접안 어려움 우려

시화조력발전소로 인해 인천신항 항로 등에 유속, 퇴적물 증가 등 피해가 확인됐지만(경인일보 2013년 10월 1일자 보도)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실행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시화조력 가동으로 인한 퇴적물을 누가 준설할지도 아직 결정되지 않았고, 조력발전소로 인해 빨라진 유속을 감소시키는 시설도 신항 개장전 설치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수자원공사 등에 따르면 수공은 시화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인천신항 항로, 부두, 자박지 등의 퇴적량 증가분을 누가 준설할지에 대해 관계기관인 인천항만공사, 한국가스공사 등과 협의중이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조력발전소 영향으로 퇴적된 양이 얼마인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워 각 기관의 비용부담 수준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10월 나온 한국해양학회의 연구 결과를 보면 인천신항 1·2공구 박지(선박이 계류하는 장소), LNG인수기지 1·2부두, E1 인천기지 부두 등에 시화조력 운영 전과 비교해 최대 6배 이상 퇴적량 증가를 보였다.

인천신항 1공구 박지의 경우 시화조력 운영 전 1년 평균 13㎝의 퇴적을 보이던 것이 운영 후 1년차 82㎝, 2년차 71㎝의 퇴적량 증가를 보였다. 퇴적물 증가에 따라 선박 운항에 필요한 최소수심이 확보되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수공 관계자는 "조력발전소의 영향으로 바다 속에 얼마나 퇴적물이 쌓였는지는 모르는 것"이라며 "자연퇴적분도 있다 보니까 누가 얼마를 부담할지에 대해서는 계속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화조력 가동에 따라 최대 13배 빨라진 조류 속도를 낮추기 위한 '유속영향저감시설'도 인천신항 개장 전에는 설치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수공은 지난 1월에야 해당 시설 실시설계 용역 착수보고회를 가진 데다, 용역이 마무리되고 공사가 시작되는 시점이 올 11월로 잡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해당 시설의 설치는 인천신항 개장 이후인 2015년 말이 된다. 유속이 빨라지면 도선사 등이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수공 관계자는 "인천신항 선박 운항에 차질이 없도록 일정에 맞춰 노력하고 있지만 신항 개장 전까지 시설 설치 등을 마무리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시화조력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현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