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미국 교통부와 12일~14일 미국과 유럽에서 도입을 추진 중인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즉 C-ITS(Cooperative ITS) 협력회의를 연다. 사진은 차세대ITS 개념도.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미국 교통부와 12일~14일 한·미 ITS 협력회의를 연다. 

이번 회의에서는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미국과 유럽에서 도입을 추진 중인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즉 C-ITS(Cooperative ITS) 협력방안이 논의된다.

'C-ITS'는 교통사고 위험요인이 되는 급정거, 정차차량, 사고상황, 도로상 장애물 등의 정보를 차량이 다른 차량 또는 도로 시설과 서로 통신해 확인·전파, 추돌·충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협력형 ITS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2월 3일 미 교통부 장관이 언론브리핑을 통해 밝힌 차량 간 무선통신 기술의 도입계획과 연구개발혁신청(RITA:Research & Innovative Technology Administraion 미 연구개발혁신청)이 시행한 시범사업의 결과 등을 공유하고 향후 C-ITS의 국제규격화 등 중·장기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일평 도로국장을 대표로, ITS 관련 공무원·전문가 1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미국은 교통부 산하 연구개발혁신청장 그래고리 윈프리 청장(차관보) 등 5명이 참석한다.

이번에 열리는 한·미 ITS 실무협력회의는 지난 2012년 8월 C-ITS에 대한 기술개발과 국제표준 공동대응에 대한 협력을 목적으로 한·미 양자 간 체결한 양해각서(MOU)의 후속조치로 추진되는 것이다.

C-ITS는 차량 급정거 경보, 교차로 측면추돌 경보 등 기존 안전장치로 한계가 있던 추돌·충돌 사고의 상당수를 예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미국, 유럽 등에서는 오는 2016년 하반기부터 생산·판매되는 차량에 안전벨트, 에어백과 같이 안전창치로서 C-ITS의 의무 장착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연구결과에 의하면 C-ITS로 추돌·충돌사고 유형의 81%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나왔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완성차·부품업계 등 자동차 산업의 특성상 미국, 유럽의 자동차 안전규제에 대한 동향파악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이번에 열리는 실무협력회의는 국내 자동차 산업과 부품업계, ITS 장비 업계 등 관련 산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세종·대전/박희송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