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프라임사업 대상 선정(경인일보 4월 1일자 22면 보도)을 앞두고 중앙대학교가 학내구성원으로부터 프라임사업 제안서를 동의 받았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며 교수들이 다시 반발하고 나섰다. 또 일부 교수들은 중앙대가 이번 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감사결과 시점을 고의로 늦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11일 중앙대에 따르면 지난달 프라임사업을 신청할 당시 설명회를 통해 안성캠퍼스의 예술대학 교수들에게 프라임사업을 통해 예술대학을 다시 키우겠다고 약속해 교수들의 동의를 받았다.
하지만 설명회 당시 취지와 달리 학교가 예술대 정원을 줄이고 예술과 공학이 합쳐진 글로벌융합대학이라는 단과대를 신설한다는 사업제안서가 드러나면서 교수회가 다시 반발하고 있다.
한 교수는 "프라임사업 제안서를 확인하니 새로 예정된 융합대학은 80%이상이 공학에 해당하는 학문으로, 예술학은 20%도 되지 않는다"며 "게다가 총장이 프라임사업 지원비를 받고 난 이후에 교수들이 반발하면 학과명과 전공과목 내용을 원래대로 바꾸면 된다고 말했다는 소문도 있다"고 설명했다.
예술대학 교수들이 반발하고 나서자, 중앙대 총장과 부총장은 이날 오후에 교수들을 설득하기 위해 안성캠퍼스를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일부 교수들은 학교 측이 프라임사업 선정 과정에서 감점 조치를 피하기 위해 교내 부정 및 비리가 드러날 수 있는 감사를 예정된 지난달 30일에서 이달 말로 미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교수는 총장이 공개석상에서 "온갖 인맥을 동원해 감사결과 발표를 늦추고 있다. 감사실 실무자들은 아직 우리 편이다"라는 발언을 수차례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학교 관계자는 "예술과 공학을 융합한 단과대 개설은 예술대학은 물론 안성캠퍼스를 살리겠다는 취지이지 예술대학의 정원만 감축하려는 생각은 아니다"며 "사업선정 이후에 원상복구한다는 (총장의) 발언은 확인이 안됐고, 감사를 미루는 것은 관행적일 뿐 프라임사업과 관련 없다"고 해명했다.
/김범수기자 faith@kyeongin.com
"예대 감축·단과대 신설… 프라임 제안서 동의안해"
중앙대 교수들 '반발' 거세
선정위해 감사연기 의혹도
입력 2016-04-11 22:09
지면 아이콘
지면
ⓘ
2016-04-12 2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