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6㎜의 위협… 40㎝ 차오르면 인천땅 13.33㎢ 잠긴다
피해면적 서울·경기보다 약 5배
10년새 1.31㎜ → 3.2㎜ 오른 서해안
도드라진 수치, 인천 유독 취약해
기후변화 외 복잡한 지형·매립 영향
인천을 비롯한 서해안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인천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면적 예측치가 서울·경기보다 약 5배나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환경공단이 ‘해수면상승 시뮬레이터’로 해수면 상승 시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을 분석한 결과, 해수면이 40㎝ 올라갈 때 인천에서는 13.33㎢(축구장 187개), 전국으로는 256.8㎢ 땅이 물에 잠기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해수면 상승폭에 따른 인천의 침수면적은 인접한 서울·경기보다 적게는 4.55배(해수면 34㎝ 상승 시)에서 많게는 5.16배(해수면 110㎝ 상승 시)까지 많았다. 침수 지역은 저지대인 인천의 섬과 연안에 집중됐다. 섬을 품은 인천이 해수면 상승에 취약하고, 그 피해는 바다와 인접해 사는 주민들에게 돌아간다는 얘기다.
섬 지역 해수면 상승은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현상이 맞물려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해양 연구·교육 전문기관인 인하대 경기·인천 씨그랜트센터 임채욱 박사는 “인천의 해수면과 수온이 상승하면서 ‘대조기’ 등이 겹치면 섬을 비롯한 저지대에 침수가 발생하고 퇴적물 이동과 함께 인근 해저 지형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해저 지형 변화는 다시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끼치고, 방재시설 구축 등을 위한 사회적 비용을 상승시킨다”고 했다.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해수면 상승이 빨라지고 있고 그 피해는 인천의 섬을 중심으로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라고 했다.
인천 등 서해안의 해수면 상승 속도는 동해안이나 남해안보다 가파르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위 관측 자료(전국 21곳)를 보면 1989~2014년까지 기록된 우리나라 해수면 연평균 상승폭은 2.48㎜다. 해역별로는 서해안 1.31㎜, 동해안(울릉도 제외) 2.67㎜, 남해안 2.05㎜다. → 그래픽 참조

관측 기간을 1989년부터 2023년까지로 늘리면 해수면 연평균 상승폭은 3.06㎜로 올라간다. 이 기간 인천 등 서해안은 상승폭이 3.2㎜로 더 높았다. 동해안(울릉도 제외) 3.05㎜, 남해안 2.6㎜ 등이다. 10년이 채 안되는 사이에 서해안의 연간 해수면 상승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는 의미다.
서해안 중에선 인천의 해수면 상승이 더 도드라진다. 전체 조위 관측기간(1989~2023년) 중 인천 연평균 해수면 상승폭은 영종대교(2009~2022년) 5.98㎜, 인천항(1999~2023년) 3.56㎜, 송도신항(2010~2023년) 6.84㎜, 영흥도(2009~2023년) 3.81㎜다. 관측기간을 2015년 12월부터 최근까지로 좁혀보면 상승폭은 영종대교 8.6㎜, 인천항 6.53㎜, 송도신항 8.5㎜, 영흥도 4.88㎜로 증가한다. 이는 해양조사원의 조위 관측 자료를 토대로 인하대 경기·인천 씨그랜트센터가 인천 조위 관측 지점(4곳)을 분석해 얻은 결과치다.
임 박사는 “울릉도를 뺀 연근해를 기준으로 10여년 전 서해안의 해수면 연평균 상승이 가장 낮았지만, 최근에는 서해안 조위가 가장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며 “기후변화를 비롯해 인천의 복잡한 해안선, 매립으로 인한 물길의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해수면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