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들의 민의를 수렴해야 할 경기지역 기초의회가 자리다툼 등으로 장기간 파행을 거듭, '의정 공백'으로 정작 시민들이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 예산심의와 행정사무감사 등 시의회 본연의 업무까지 차질이 불가피해 지역 내에선 세비를 반납하라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15일 현재 도내 시·군의회 중 의정부시의회는 지난달 마쳤어야 할 후반기 원구성을 한 달이 넘은 지금까지 매듭짓지 못했다. 지난 2014년 7대 시의회가 구성될 당시 다수의석을 점한 더불어민주당이 의장을 맡기로 여야가 합의했지만, 지난 5월 더민주 소속 김이원 의원이 구속돼 여야가 6대 6 동수가 되면서 양당의 갈등이 시작됐다.


이날 오후에도 임시회 본회의를 열어 원구성 문제를 논의했지만, 당초 17일까지였던 회기를 15일까지 이틀 앞당기기로 합의했을 뿐 정작 의장선출에 대해선 이렇다 할 결론을 내지 못했다.

오는 25일 김 의원에 대한 의정부지법의 선고공판 이후에야 원구성 논란이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의장 직을 둘러싼 다툼이 길어지면서 의정부시는 시정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시의회가 올해 열 수 있는 임시회가 단 이틀밖에 남지 않아, 오는 11월 진행할 시정 감사와 예산 심의에 대한 준비작업은 물론 각종 조례심의와 조직 개편 등도 면밀하게 논의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성남시의회도 진통을 겪고 있긴 마찬가지다. 시의회 더민주협의회가 김유석 의장을 상대로 선임의결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하자 새누리당협의회 역시 "끝까지 법적 책임을 묻겠다"며 반발하는 등 법정 공방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성남시의회의 다수의석을 점하고 있는 더민주는 당초 박문석 의원을 의장 후보로 내정했지만, 이탈 표가 생기면서 김유석 의원이 당선됐다. 여야 갈등으로 파행이 불가피한 가운데 조례·예산안 심의 등이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다.

원구성 문제를 두고 파행되던 화성시의회도 지난 5일 가까스로 의장선출 등을 매듭지었지만 더민주 의원들이 의장과 부의장·상임위원장 직을 독식해 새누리당이 거세게 반발, 후반기 의회 운영에 난항이 예상된다.

한편 광명시의회도 '고소전'으로 얼굴을 붉히고 있다. 동료의원의 성기를 몰래 촬영했다가 유죄를 선고받은 김익찬 시의원은 다른 의원들을 위증죄로 고소했다가 오히려 무고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지역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