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경찰의 교통안전 정책이 역행하면서 교통사고 사망자가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1일 오후 이천 덕평휴게소 안에서 발생한 화물차 연쇄 추돌사고 이후 소방대원이 사고자를 구조하는 모습. /경기도재난안전본부 제공

'차 對 차' 사고 준 반면 '차 對 사람' 오히려 늘어
무단 횡단 우범지역 '안전봉' 설치 가시적 효과
'교육 부실' 무등록 운전학원 철저한 단속 시급


2017102401001284500062912
경기남부지역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다시 급증한 것은 시민들의 안전의식 부재, 교통당국의 축소된 안전정책의 결과물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경기남부지방경찰청내 안전사고 예방관련 각종 시책이 청장 교체 당시 내부 직원(경찰)의 피로도 호소 등으로 축소되면서 도민들의 교통안전이 후순위로 밀렸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4일 경찰청 등에 따르면 경기남부지역의 올해 9월까지 '차대 차' 사고는 1만1천468건에서 1만848건으로 감소했지만 '차대 사람' 사고는 5천598건에서 5천722건으로 증가했다. 무단횡단 등으로 인한 보행자 사망 수도 지난해 160명에서 15명 증가한 175명으로 집계됐다.

2017102401001284500062913
운전자의 보행자 보호 불이행(19명→15명)과 횡단보도 안 사망사고(44명→42명)는 줄어든 반면, 보행자의 차도 통행 사망사고가 9건에서 21건으로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일반 도민의 교통법규 위반이 경기남부 교통사고 사망자수 증가의 주원인으로 꼽힌다. ┃그래픽 참조

실제 교통안전공단이 도내 일부 무단횡단 우범지역에 '안전봉'을 설치하고 무단횡단 방지 캠페인을 벌인 결과, 해당 장소의 사망사고는 '0'명으로 나타났다. 즉, 안전시설 설치와 함께 교통법규 준수 계도 캠페인이 가시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하지만 올해 경기남부청의 교통안전정책은 오히려 축소되는 분위기다.

지난해 경기남부청은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교통기동대 집중배치를 비롯해 안매켜소 운동(안전띠 매기, 주간 전조등·방향지시등 켜기), '학교다녀오겠습니다' 등의 시책을 펼쳐 지난 2015년 대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15% 감소하는 성과를 얻었지만, 올해는 이렇다 할 교통안전정책을 펼치지 않고 있다.

서울청 교통지도부장을 역임하는 등 교통분야에 능통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기창 경기남부청장이 지난 7월 말 새로 취임한 만큼, 교통사고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 속도제한장치를 임의로 해체하거나 운전기사들 교육을 제대로 하지 않는 운수업체를 비롯해 불법 운전교육으로 초보운전자들의 안전의식을 흐리는 무등록 운전학원에 대한 철저한 단속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경기남부청 관계자는 "신도시 개발에 따른 인구 유입으로 교통여건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하락했다"면서 "지난해 하반기 사고가 많았던 것을 고려해 행락철 대형사고 예방을 위한 버스 및 화물차 단속을 강화하는 등 사고 예방에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