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최저임금 인상'이나 '노동시간 단축' 같은 고용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산업 현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그 대책을 세우기 위한 민·관 공동 대책단을 꾸리기로 했다.

인천시는 이달 초까지 민·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일자리 안정 특별대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인천시 정무경제부시장이 단장을 맡기로 한 일자리 안정 민·관 TF에는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인천지방중소기업벤처기업청 등 공공기관과 인천상공회의소, 한국노총 인천본부, 민주노총 인천본부, 소상공인연합회를 비롯한 민간단체가 참여할 예정이다.

일자리 안정 TF 운영기간은 특정한 시점으로 한정하지 않고, '고용환경 안정 시까지'로 정했다. TF는 우선 인천지역 중소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 같은 현장을 돌며 최저임금 인상과 노동시간 단축 등 올해 들어 변화한 고용환경 관련 여론을 수렴할 방침이다.

업종별 사업장을 찾아 애로사항과 필요한 지원책을 직접 듣겠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공동주택 경비원이나 청소원, 경력단절여성 같은 이른바 취업 취약계층에게 최저임금 인상 여파가 어떻게 미치는지도 점검하기로 했다.

이를 토대로 TF는 기관·단체별 실무선에서 고용환경 변화 대응책, 추가적인 일자리 지원대책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매월 1회씩 개최할 계획인 기관·단체 대표회의에서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확정하거나 중앙정부에 관련 대책을 건의한다는 구상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기관이나 단체별로 고용환경 변화와 관련한 대응책을 추진하겠지만, 민·관 TF를 통해 이를 종합하고 유기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자는 취지"라며 "이달 중으로 TF를 구성해 첫 회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