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급자수, 최근 5년중 최다 기록
전년比 총액 100억원 이상 늘어
한국지엠 협력사 경영악화 영향
최저임금 상승, 도소매 취업 감소
일자리를 잃어 정부로부터 실업급여를 받은 인천지역 수급자 수가 올 1분기 2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인천지역 실업급여 수급자가 한 분기에 2만 명을 넘어선 건 최근 5년간 한 번도 없었다.
한국지엠 사태에 따른 자동차 등 제조업 위축과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이 지역 고용시장을 얼어붙게 한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22일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인천고용센터 등에 따르면 올 1분기 인천지역에서 실업급여를 받은 인원은 2만 979명으로 집계됐다. 2013년 1분기부터 2017년 4분기까지 인천지역 실업급여 수급자 수가 한 분기에 2만 명을 넘어선 적은 없었다. → 그래프 참조
올해 1분기 실업급여 지급 총액은 734억 5천300여만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0억 원 이상 늘어난 규모다. 실업급여 지급 총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0억 원 이상 늘어난 건 2015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인천지역 실업급여 수급자 증가가 '한국지엠 사태', '최저임금 인상'과 무관치 않다고 보고 있다.
한국은행 인천본부의 '인천 2월 제조업 생산동향'에서 인천의 대표 주력 산업 중 하나인 '자동차(부품 포함)'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20.2%' 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9월 이후 6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세다. 특히 지난해 10월부터는 5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의 마이너스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지엠과 인천지역 부품 협력업체 220여 곳의 동반 경영난이 이번 실업급여 수급자 급증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 고용동향에선 올 3월 기준 인천지역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가 33만 3천 명 수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2천 명 감소했다.
취업자 수가 줄어든 업종 가운데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최저임금 인상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인재 인천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올 1분기에 실업급여 수급자가 급증한 건 한국지엠 사태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여파로 해석될 여지가 크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