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1 (12)
RESNA '학생 디자인 공모전 2018'에서 2등상을 수상한 인하대 김규성 의과대학 교수와 전자공학과 대학원 강진구, 이승관, 김연욱 학생, 이상민 전자공학과 교수(왼쪽부터). /인하대 제공

인하대 전자공학과 대학원생팀
美상받은 연구로 SW·장비개발

인하대는 전자공학과 대학원 학생으로 구성된 연구팀이 집에서도 손쉽게 이석증 치료가 가능한 소프트웨어와 장비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상민 전자공학과 지도교수와 강진구(27), 이승관(29), 김연욱(29) 학생이 참여한 연구팀은 일명 이석증으로 불리는 양성자세현훈 환자의 치료를 돕는 장비와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장비와 소프트웨어는 환자의 현재 자세와 치료를 위해 취해야 하는 자세를 3D 모델로 구현해 환자가 목표자세를 쉽고 정확하게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관성센서(IMU)가 내장된 장치를 머리에 착용해 자세나 동작 추적을 가능하게 했다.

이들은 지난 2011년 김규성 인하대 의과대학 교수와 이상민 전자과 교수, 이우기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등이 공동으로 발명한 '어지럼증 자세 측정 장치 및 어지럼증 치료 장치' 특허를 바탕으로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이 장비와 프로그램은 북미재활보조공학회(RESNA)가 주최하는 '학생 디자인 공모전 2018'에서 2등 상을 받기도 했다. RESNA는 재활보조분야 최대 국제학회다. 대회에는 모두 49개 팀이 출품해 6팀이 결선에 진출해 인하대 팀을 포함한 3개 팀이 수상했다.

인하대 관계자는 "병원 치료가 필요하지만 어지럼증 때문에 이동이 어려운 환자에 획기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번 결과물을 인하대 병원과 연계해 내년 제품으로 출시, 실제 환자 치료에 사용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