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9호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관통할 것으로 예측된 가운데,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태풍이 상륙하는 것은 사실상 6년 만이다.
지난 19일 기상청에 따르면 사흘 전 괌 주변에서 발생한 '솔릭'은 19일 오후 3시 일본 가고시마 남동쪽 1천80km 부근 해상으로 이동한 상태다.
발생 초기 강도는 '약'이고 크기는 소형이던 '솔릭'은 현재 강도 '강', 크기 중형으로 성장한 상태다.
중심기압 955hPa(헥토파스칼)인 '솔릭'은 시속 5km로 서남서 방향으로 이동했고, 최대 풍속은 초속 40m(시속 144km)에 달한다.
태풍은 이후 서북쪽으로 방향을 바꿔 수요일인 22일 오후 3시께 제주 서귀포 남남서쪽 180km 부근 해상을 지나 목요일인 23일 오전 전남 남해안을 통해 한반도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어 23일 오후 3시께 서울 남남동쪽 120km 부근 육상을 지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기상청은 "한반도에 접근하면 강한 비와 매우 강한 바람을 동반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경고했다.
'솔릭'이 접근함에 따라 오는 22일 오후 제주도를 시작으로 23~24일에는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됐다.
당초 '솔릭'은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 동해 쪽으로 빠질 것으로 관측됐지만, 동쪽에 자리 잡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으로 서쪽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보가 수정됐다.
유희동 기상청 예보국장은 "태풍 예보는 항상 보완해야 하므로 현재 예보도 조정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현시점에서 '어디에서 상륙해 어디로 빠져나갈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전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전남 남해안 상륙 가능성과 함께 서해안으로 진행하는 시나리오도 분석 중"이라고 덧붙였다.
'솔릭'이 한반도에 상륙하면 가뭄과 녹조 완화를 기대할 수 있지만, 풍랑과 폭우, 강풍 등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솔릭'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 속의 족장'을 일컫는다.
한편, 태풍이 북상하기 전인 22일까지 북태평양 고기압으로 폭염과 열대야가 강화할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디지털뉴스부
지난 19일 기상청에 따르면 사흘 전 괌 주변에서 발생한 '솔릭'은 19일 오후 3시 일본 가고시마 남동쪽 1천80km 부근 해상으로 이동한 상태다.
발생 초기 강도는 '약'이고 크기는 소형이던 '솔릭'은 현재 강도 '강', 크기 중형으로 성장한 상태다.
중심기압 955hPa(헥토파스칼)인 '솔릭'은 시속 5km로 서남서 방향으로 이동했고, 최대 풍속은 초속 40m(시속 144km)에 달한다.
태풍은 이후 서북쪽으로 방향을 바꿔 수요일인 22일 오후 3시께 제주 서귀포 남남서쪽 180km 부근 해상을 지나 목요일인 23일 오전 전남 남해안을 통해 한반도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어 23일 오후 3시께 서울 남남동쪽 120km 부근 육상을 지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기상청은 "한반도에 접근하면 강한 비와 매우 강한 바람을 동반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경고했다.
'솔릭'이 접근함에 따라 오는 22일 오후 제주도를 시작으로 23~24일에는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됐다.
당초 '솔릭'은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 동해 쪽으로 빠질 것으로 관측됐지만, 동쪽에 자리 잡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으로 서쪽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보가 수정됐다.
유희동 기상청 예보국장은 "태풍 예보는 항상 보완해야 하므로 현재 예보도 조정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현시점에서 '어디에서 상륙해 어디로 빠져나갈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전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전남 남해안 상륙 가능성과 함께 서해안으로 진행하는 시나리오도 분석 중"이라고 덧붙였다.
'솔릭'이 한반도에 상륙하면 가뭄과 녹조 완화를 기대할 수 있지만, 풍랑과 폭우, 강풍 등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솔릭'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 속의 족장'을 일컫는다.
한편, 태풍이 북상하기 전인 22일까지 북태평양 고기압으로 폭염과 열대야가 강화할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