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91901001385800068011.jpg
정하영(왼쪽) 김포시장이 신원철 서울시의회 의장을 만나 김포지역 현안 관련 협조를 요청했다. /김포시 제공

 

정하영 김포시장이 18일 오전 신원철 서울시의회 의장을 만나 '5호선 김포연장'과 '신곡수중보 철거' 등 김포지역 현안과 관련해 협조를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 정하영 시장은 "김포시 직장인 대부분이 서울로 출퇴근함에도 대중교통 수단이 부족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해결책은 서울지하철 5호선의 김포연장뿐"이라고 설명했다. 정 시장은 이어 "김포시는 그동안 공장이 난립해 시민들이 환경문제에 예민하다"면서 "5호선 연장에 따른 차량기지 이전은 당연하지만 건설폐기물처리장 이전은 불가하다는 의견을 서울시에 제출했고, 건설폐기장 이전은 5호선 연장과 별개로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의장은 "당연히 주민들은 건폐장 수용을 반대할 것"이라며 "그러나 주택난 해소를 위해 주택용지 확보가 시급한 서울시는 5호선을 유치하는 지자체로 차량기지와 건설폐기장을 함께 이전할 경우 주택용지를 확보할 수 있어 패키지로 묶으려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센티브 제공 등 주변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한 서울시의 정무적인 판단을 기대하며, 잘 살펴보겠다"고 덧붙였다.

신곡수중보 철거에 관한 김포시의 입장도 전달했다. 신곡수중보는 지난 1988년 김포 고촌읍~고양 신평동 구간 한강하구 용수확보와 수위 유지, 염해방지를 목적으로 건립됐다. 하지만 수중보 근처 와류현상과 급류 등으로 수난 안전사고가 빈번해 철거 등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가동보의 전체적인 구조가 편향돼 김포 강안 침식이 가중되고 토사 퇴적에 따른 어업활동 제한, 수해 위험, 수질오염 우려도 크다.

정하영 시장은 "얼마 전 신곡수중보에서 김포소방서 수난구조대원 2명이 순직한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다. 한강 오염 저감 및 하천생태계 복원을 위해 신곡수중보는 철거돼야 한다"고 설득했다. 이에 대해 신 의장은 "그동안 서울과 김포는 물리적인 거리보다 마음이 먼 곳이었다. 5호선 연장과 신곡수중보 철거문제는 김포의 문제만이 아니라 서울시의 문제이기도 하다. 함께 고민해 보자"고 관심을 표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