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장애인부모연대 경기지부는 26일 "경기도교육청은 더 이상 장애학생의 교육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제대로 된 관리 감독을 실시해 달라"고 밝혔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경기지부 관계자 10여명은 이날 오후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십 수년간 우리 부모들은 우리 아이들의 교육기본권을 찾기 위한 쉼 없는 싸움을 이어왔다"며 "그러나 여전히 교육의 현장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다시 확인하면서 비통함과 절망을 넘어 분노가 치밀어 오름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지난 2017년 도교육청 산하 공립 평택성동유치원에서 벌어진 믿을 수 없는 장애학생의 기본권 침해에 분노해 철저한 진상 규명 및 조사를 간곡히 요청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강력한 징계를 요청했다"며 "하지만 도교육청과 평택교육지원청은 이 사건에 연루돼 있는 책임자들에게 솜방망이 처분과 같은 경고 처분만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즉 장애학생에 대한 비교육적이고도 안이한 태도로 여겨지며, 장애 자녀를 키우고 있는 우리 부모들은 비통함과 절망을 느낄 수 밖에 없다"며 "어린 아이들이 공부할 교실을 빼앗고 예산을 빼앗고 심지어 안전하게 지켜주어야 할 교사조차도 수업 시간 중 일방적으로 빼앗어 버리는 초법적 지시를 하는 사람들인데 경고를 주면 이것이 경기도 소속 유초중고의 모든 지도자들에게 가이드라인이 되지 않겠냐"고 토로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경기지부의 주장에 따르면 평택성동유치원은 7년 동안 장애학생들이 공부해야 할 교실이 인근 교사들의 연수, 각종 행사뿐만 아니라 원장과 원감의 점심식사 장소로 사용하고, 장애학생들을 위해 사용되었어야 할 특수교육예산마저 특수교육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
이들은 ▲관련 책임자의 재조사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는 장애학생 폭행사건의 진상 규명 및 엄중 처벌 ▲교육지원청에 특수교육을 전담할 특수교육 전공 장학사 배치 등을 요구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경기지부 관계자 10여명은 이날 오후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십 수년간 우리 부모들은 우리 아이들의 교육기본권을 찾기 위한 쉼 없는 싸움을 이어왔다"며 "그러나 여전히 교육의 현장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다시 확인하면서 비통함과 절망을 넘어 분노가 치밀어 오름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지난 2017년 도교육청 산하 공립 평택성동유치원에서 벌어진 믿을 수 없는 장애학생의 기본권 침해에 분노해 철저한 진상 규명 및 조사를 간곡히 요청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강력한 징계를 요청했다"며 "하지만 도교육청과 평택교육지원청은 이 사건에 연루돼 있는 책임자들에게 솜방망이 처분과 같은 경고 처분만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즉 장애학생에 대한 비교육적이고도 안이한 태도로 여겨지며, 장애 자녀를 키우고 있는 우리 부모들은 비통함과 절망을 느낄 수 밖에 없다"며 "어린 아이들이 공부할 교실을 빼앗고 예산을 빼앗고 심지어 안전하게 지켜주어야 할 교사조차도 수업 시간 중 일방적으로 빼앗어 버리는 초법적 지시를 하는 사람들인데 경고를 주면 이것이 경기도 소속 유초중고의 모든 지도자들에게 가이드라인이 되지 않겠냐"고 토로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경기지부의 주장에 따르면 평택성동유치원은 7년 동안 장애학생들이 공부해야 할 교실이 인근 교사들의 연수, 각종 행사뿐만 아니라 원장과 원감의 점심식사 장소로 사용하고, 장애학생들을 위해 사용되었어야 할 특수교육예산마저 특수교육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
이들은 ▲관련 책임자의 재조사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는 장애학생 폭행사건의 진상 규명 및 엄중 처벌 ▲교육지원청에 특수교육을 전담할 특수교육 전공 장학사 배치 등을 요구했다.
/이준석기자 lj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