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트롤타워 '위원회' 내달중 구성
지속가능 5만개·맞춤형 49만개 등
퇴직인력의 사회공헌 기회 제공도

인천시가 2022년까지 일자리 55만개를 목표로 하는 '민선7기 일자리 정책 로드맵'을 수립했다.

인천시는 고용률 71.2%, 실업률 3.9%, 일자리 55만개를 목표로 한 일자리 정책 로드맵을 공시했다고 3일 밝혔다. 2017년 인천의 고용률은 67.3%, 실업률은 4.6%를 기록했다.

시는 목표 달성을 위해 일자리 시스템 혁신,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맞춤형 일자리 지원, 행복한 일자리 만들기 등의 4대 분야 14개 추진전략과 80개 실천 과제를 설정했다.

시는 일자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를 2월 중에 꾸리고 주요 정책을 심의해 이끌어 나갈 방침이다.

'일자리 시스템 혁신' 분야에서는 4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기초단체와 함께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창출해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일자리 관련 인터넷포털 구축, 제물포 스마트타운 내 취업 정보 제공, 일자리 기관 간 협력 등을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지속 가능한 일자리' 분야 목표 일자리는 5만2천870개다. 공항·항만·경제자유구역·녹색기후기금(GCF) 등의 분야다. '맞춤형 일자리' 분야에서는 49만3천916개다. 청년·여성·노인·신중년 등 특정 계층에 따른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해 매칭하는 것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퇴직 인력의 사회공헌 활동 기회를 주기 위해 '신중년 일자리 사업'도 실시한다. 만 60세 이상 정년 퇴직자를 재고용하거나 신규 채용하는 경우 월 30만원씩 1년간 지원한다.

장애인 종합직업적응훈련센터도 건립해 장애인에게도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행복한 일자리 만들기' 분야에서는 5천111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사회적경제를 육성해 일자리를 만들고 산단별 근로자 지원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했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근속을 위해 기숙사 임대 시 임대료도 월 30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이상범 시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일자리 창출의 주인공인 기업과 소상공인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