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전략등
연구용역 착수 내년 8월말까지 완료
입지선정위 구성해 시민들과 협의
타당성·환경평가 거쳐 내년중 결정
인천시가 인천에서 나오는 쓰레기만 받아 처리하는 자체 매립지 조성을 위한 연구 용역에 착수했다.
시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하기 위해 '인천시 자체 매립지 조성 연구용역'을 발주했다고 29일 밝혔다.
서구 수도권매립지에서는 인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양보다 훨씬 많은 서울·경기 지역 쓰레기를 함께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계획에 따라 더 이상 서울·경기 지역 쓰레기를 반입하지 않고 자체 매립지를 조성하겠다는 게 인천시 의지다.
지난해 매립지 폐기물 반입량을 보면 전체 374만t 중 서울 쓰레기가 159만t(42%), 경기 쓰레기가 146만t(39%)으로 전체의 81%를 차지했다.
시는 1992년 현 매립지 개장 이후 27년간 다른 지역 쓰레기까지 처리하느라 주민 환경 피해가 심각하다며 2025년 현 매립지 사용을 종료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내년 8월 말까지 1년간 진행하는 연구 용역에서 자체 매립지 후보지를 선정하고 로드맵을 그릴 방침이다. 입지 지역 주민 반발을 최소화할 방안과 생활 폐기물 직매립 제로화 전략 등도 용역에 담기로 했다.
자체 매립지는 입지 선정 위원회를 꾸려 시민들과 협의해 선정하기로 했으며, 지역별 타당성 조사와 환경 영향 평가를 거쳐 내년 중 입지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는 대체매립지 조성에 소극적으로 나오는 환경부가 최근 전처리시설을 설치하는 '제6차 수도권매립지 환경관리계획'을 승인하자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시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전처리시설은 생활폐기물을 소각하고 건설폐기물을 선별해 매립량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사실상 수도권매립지 사용 연장의 수순이라는 분석에서다.
류제범 시 수도권매립지정책개선단장은 기자회견에서 "4자 합의에 따라 공동 대체매립지 조성을 성실히 추진하는 것과 동시에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른 자체매립지 조성까지 '투트랙'으로 가고자 한다"며 "전처리시설 설치, 수도권매립지 사용 연장 불가에 대한 입장을 환경부에 분명히 밝혔으며 강경히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인천시 서구발전협의회도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환경부의 수도권매립지 영구화 획책'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인천경실련은 "환경부가 서주원 사장을 사주해 전처리시설 용역을 발주케 하며 인천시민의 반대 의사를 철저히 무시했다"며 "폐기물은 한쪽 일방이 희생할 문제가 아니며, 환경부 장관을 방문해 강력히 항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수도권매립지 종료 대비 '인천시 자체 조성 로드맵' 본격화
입력 2019-08-29 22:3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8-30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