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형 미래산업도시 조성 최우선
제조업 구조 고도화 다양한 지원
특례보증 확대·e음 카드 활성화도
인천시가 바이오 산업 활성화와 R&D 산업 발굴·육성, 로봇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2030년까지 취업자 수를 157만명에서 178만명으로 늘리고, 고용률을 2.1%p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인천시는 10일 송도국제도시 미추홀 타워에서 '일자리·경제와 산업정책 분야 2030 중장기 계획 미래 이음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인천시는 현재 산업구조와 각종 일자리 지표를 분석하고, 인천시가 향후 10년 동안 주력해야 할 일자리 목표를 세웠다고 설명했다.
인천시는 '융합형 미래산업도시 조성'을 최우선 과제로 정하고 바이오 헬스 산업 경쟁력 강화 사업을 펼쳐 관련 기업 280개를 유치하겠다는 계획이다.
송도 바이오 헬스 밸리 조성과 전문 인력양성 센터 설치, 원자재 국산화 지원사업 등을 통해 3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청라 로봇랜드를 중심으로 한 로봇기업 육성과 공항·항만을 연계한 물류 로봇 산업 활성화 사업을 진행해 관련 기업을 107개에서 290개로 늘리겠다는 목표도 이날 발표했다.
이밖에 중견기업과 벤처·스타트업의 기술 독립을 돕기 위한 R&D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지역 대학 산학협력단과 연계한 연구인력을 2만5천명 양성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인천 산업구조의 근간을 이뤄왔던 제조업의 구조 고도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도 벌인다.
이날 '스마트산단'으로 선정된 남동산단과 앞서 청년친화형 산단으로 지정된 부평·주안 산단의 기업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600억 달러의 수출 규모를 달성할 계획이다.
여기에 연간 1조원 수준의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해 기업이 성장 기반을 다지는 데 도움을 줄 방침이다. 핵심 부품과 소재의 국산화를 위한 기술 개발 지원도 이어나갈 계획이다.
서민 경제 지원을 위해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을 확대하고, 인천e음 카드 활성화를 통한 역외유출 차단, 사회적 경제 육성(700개→1천400개), 비정규직 처우 개선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청년과 중장년, 노인,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세대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사업을 실시해 '빈틈없는 일자리 안전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특히 정년을 맞은 베이비붐 세대의 고용 안정화를 위해 중소기업 고용 연장 지원사업과 뿌리산업 평생 일자리 창출 사업을 할 계획이다.
또 송도·청라·영종 경제자유구역은 특성에 맞는 투자 유치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 송도는 바이오·녹색 금융산업, 영종은 관광·리조트 산업, 청라는 금융·의료·쇼핑 허브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인천시는 이런 전략을 통해 15세 이상 고용률을 62.9%에서 65%로 높이고, 취업자 수는 21만명 늘어난 178만명으로 증가시키겠다고 밝혔다.
또 외국인 투자유치액도 263억 달러에서 379억 달러로 끌어올리고, 인천시민 1인당 개인 소득을 연간 1천800만원에서 3천300만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시민과 함께 하는 경제활력이 넘치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미래 전략을 세웠고, 시민들의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계획을 더 세분화해 실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인천시 '바이오·R&D·로봇산업' 주력… 취업자 21만명 늘린다
일자리·경제·산업 중장기 계획
입력 2019-09-10 22:3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9-11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