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후 첫 행감서 잦은 유출 지적
'연내 과제 마무리' 정규직 2명뿐
홈페이지 구성도 상호 소통 '부족'
인천복지재단에 대한 설립 후 첫 인천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잦은 인력 유출 문제가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인천시의회 이용선 의원은 12일 인천복지재단을 대상으로 벌인 문화복지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복지재단이 어렵게 첫발을 뗐는데 직원들이 들어온 지 3~4개월 만에 6명이 그만뒀다"며 "이들이 복지기준선을 만들고 연구 기틀을 마련한 것인데 지금 이 인원으로 '인복드림' 정책 실행과 연구가 가능한 것인지 의문"이라고 질책했다.
인천복지재단의 현재 인원은 정원 20명 중 15명으로 5명이 부족한 상태다. 결원 인원 중 3명은 연구직, 2명은 사무직이다. 인천 복지기준선 설정, 읍면동 맞춤형 서비스 연구 등 연말까지 마무리를 앞둔 각종 연구를 이끌어 가야 할 정규직 연구원은 2명뿐이다.
지난 4월부터 10월까지 연구직 4명(3급 2명, 4급 2명)과 사무직 2명(2급 1명, 3급 1명)이 각각 그만두었다.
재단이 최근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하고 있지만 결원 4명 중 4급 부연구원 1명, 2급 사무직 1명만 각각 채용키로 했다.
3급 연구원 1명과 2급 사무직 1명에 대해서는 '적격자 없음'을 이유로 채용하지 않았다. 각종 사업에 차질이 우려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박인동 시의원은 "자격요건을 갖춰 엄선된 초창기 직원들이 대거 이직하면서 복지기준선을 만드는 재단의 첫 시작이 무너졌다고 생각한다"며 "직원 간 소통이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며, 간부들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설립 9개월이 됐지만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매개체인 재단 홈페이지가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한 점도 지적됐다.
김성준 시의원은 "복지 기관은 최대한 시민들이 접근하기 편안하고 따뜻해야 하는데 홈페이지가 굉장히 자의적이며 상호 소통이 이뤄지지 않고 각종 회의록, 사업보고도 올라가 있지 않다"며 "시민들에게 쉬운 언어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유해숙 인천복지재단 대표는 "진행 중인 연구는 초빙연구원 등을 별도로 고용해 연구에 차질이 없이 진행 중"이라며 "재단 초기 여러 부분 부족한 점이 있었지만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복지 플랫폼 역할을 하겠다"고 답변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인천복지재단 직원 대거 이직… 복지기준선 설정 등 차질 우려"
입력 2019-11-12 21:53
수정 2019-11-13 07:36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1-13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