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경기

[FOCUS 경기]체계적 설계로 가져온 '광주 도시변화'

미래 개발예측으로 규제 대응 '광주는 계획이 다 있구나'

광주시가지전경
광주시가지 전경. /광주시 제공

일반·유도형 나눠 대책 제시 '성장관리방안' 市 전체 확대 '전국 최초'
'경안2 사업' 교통불편 해소 2024년 준공·일몰제 앞서 민간공원조성
난개발된 공장지역 해결책 시급… 도심지 군부대 이전 '마지막 단추'

2020011901000902700045616
광주시는 억울하다. '규제'라는 이중삼중의 덫에 갇혀 번듯한 개발계획 하나 세우기가 쉽지 않았다.

 

그사이 각종 규제를 피해 조각난 '난개발'이 이뤄졌고, 광주는 계획과는 거리가 먼 지역처럼 취급받아왔다. 

 

지난해 9월 경기도가 제작한 '경기도 규제지도'를 보면 광주의 열악한 여건이 여실히 드러난다. 

 

총 7개에 달하는 규제가 광주시를 옥죄고 있는 가운데 관내 일부 지역은 자연보전권역에 팔당특별대책권역,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상수원보호구역에 적용되는 5개 규제를 한 번에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지옥'이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것이다. (2019년 11월 11일자 16면 보도) 

 

이런 광주시가 수 년사이 억울함이 무색할 정도의 체계적 도시개발계획을 통해 괄목할만한 도시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영화 '기생충'의 송강호 대사 "역시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가 새삼 떠오른다. → 위치도 참조

2020011901000902700045613

■ 본격화된 도시계획… 쾌적한 정주여건 향상으로 이어져


지난달 광주시는 개발 압력이 높은 비시가화 지역을 대상으로 계획적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시 전역을 대상으로 성장관리방안 시행에 들어갔다. 

 

성장관리방안은 미래 개발예측을 통해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지역을 유형에 따라 일반형과 유도형으로 구분했다. 

 

건축물의 권장, 불허용도 설정 및 개발밀도에 맞는 기반시설의 설치, 건축물의 용도 등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해 개발행위 허가시 유형에 맞는 개발이 가능토록 했다. 

 

지난 2017년 오포읍을 대상으로 시범 시행했던 것을 시 전체(주거·상업·공업지역 등을 제외한 광주시 비시가화지역 전역, 총면적 57.52㎢, 250개 블록)로 확대한 것인데 전국 최초다.



이미 개발이 한창 이뤄진 도심지역의 경우는 기반시설 확충 및 개발계획 연계를 통한 도시발전으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2005년 지구단위계획 결정 이후 장기간 사업이 지연됐던 송정지구의 경우, 시가 직접 개발을 추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송정동 318 일원(사업면적 27만9천936㎡)에 행정타운과 주거·상업·업무시설을 연계한 복합기능의 시가지 조성을 목표로 지난 2018년 착공, 부지조성 공사가 한창이다. 

 

이곳은 광주IC와 광주역이 인접해 교통이 편리하고, 기존 시가지와 송정동 행정타운이 연결되는 지역으로 광주시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0011901000902700045614
광주시청 전경.

지난달 조건부로 개발계획이 수립·고시된 경안2지구(광주 역동 28-3번지 일원, 2만9천488㎡ 규모) 도시개발사업 역시 시가 중심이 돼 나섰다. 

 

당초 사업목적을 ▲역동사거리의 고질적인 교통문제 해결 ▲예식·행사 등이 가능한 컨벤션센터 ▲문화시설 ▲주차공간 확보 등 시민 생활에 밀접한 사안 해결로 잡은 시는 광주도시관리공사를 내세워 민간사업자를 공모해 개발계획을 수립했다. 

 

공공기여도는 크지만 시 단독으로 하기엔 부담이 있는 사업을 SPC사업으로 풀어낸 것이다. 오는 2024년 준공 예정인데 구시가지 상권 활성화까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역세권·민간공원 등 잇따르는 개발… 그럼에도 갈길 바쁜 광주, 현안은 계속 중

광주시 상징물
2016년 9월 개통한 경강선(성남~여주간 복선전철)은 도시개발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촉매제가 됐다. 

 

역사 주변 난개발이 뻔한 상황에서 시는 '역세권 개발사업'으로 무분별한 개발에 제동을 걸었다. 

 

나아가 일자리 창출 및 자족중심 복합단지 조성으로 포부를 확대했다. 

 

광주역세권의 경우, 광주시와 광주도시관리공사, 경기도시공사가 공동시행에 나서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상황이다. 

 

총 49만여㎡의 부지에 조성되는 광주역세권은 지난해 4월 공동주택용지(총 1천531세대)에 대해 분양을 완료한 상태며 나머지 상업, 산업, 준주거, 단독주택, 공공청사, 숙박용지 등은 올해 공급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시가 단독 추진하는 곤지암역세권(곤지암리 367 일원, 17만5천497㎡)도 도시개발사업 관련 환지문제를 해결하고 부지 조성에 나섰다. 

 

시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들 광주·곤지암 역세권에 대한 배후지역 개발구상 및 타당성 조사에도 돌입한 상황이다.

2020011901000902700045615
경안2지구 도시개발사업 투시도.

시에서 처음 추진하는 민간공원 개발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오는 7월 시행되는 장기미집행시설 일몰제에 앞서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에 나선 광주시는 중앙근린공원과 송정근린공원의 사업 추진에 나선데 이어 4곳도 추가개발을 타진 중이다. 

 

민간공원은 공원부지 중 70%를 민간시행자가 공원으로 조성해 광주시에 기부체납하고 대신 나머지 부지에 공동주택 등 개발사업을 하게 된다. 

 

중앙공원(경안동 산2-1번지 일원, 45만1천430㎡)과 송정공원(송정동 산28-4번지 일원, 12만6천여㎡)은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뒤 주민설명회를 열고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렇듯 광주는 그 어느 곳보다 부지런히 체계화된 개발을 이어가고 있지만 풀어내야 할 현안도 적지 않다. 

 

거주지로서의 정주공간에 대한 개발도 중요하지만 규제 탓에 소규모로 난개발된 일자리 터전인 공장지역에 대한 방안마련도 시급하다.

이와별도로 광주시 전역에 자리하고 있는 군부대 중에서도 도심지에 위치한 군부대 이전 문제는 체계적 개발의 마지막 단추로 끼워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시 관계자는 "인구 40만명 돌파를 목전에 둔 지자체로서 무분별한 소규모 개발을 지양하고 기반시설 부족 및 경관훼손 등에 따른 각종 문제들을 중·장기적으로 해소해 나갈 방침"이라며 "체계적인 개발 유도에 따라 주거환경 개선 및 시민 삶의 질 향상에 더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이윤희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